최근 7개월간 이송병원 선정 건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1% 늘어
최근 응급실 11곳에서 이송을 거부당한 28개월 여아가 한 달째 의식불명 상태에 빠져 있다는 소식이 뒤늦게 알려져 ‘응급실 뺑뺑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월부터 8월 말까지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을 찾아달라”는 구급대들의 요청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1일부터 지난달 25일까지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이송병원 선정 건수는 총 119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19건 대비 131%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업무별 비중에서 ‘이송 병원 선정’의 비중은 4.1%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8%와 비교해 두 배 이상 높아졌다. ‘대국민 병의원 안내’도 같은 기간 41.8%에서 44%로 2.2%포인트 높아졌다.
구급상황관리센터는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해 ‘중증·응급환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나 대형병원으로, ‘경증·비응급환자’는 지역 응급의료기관이나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병원을 선정하는 업무를 한다. 이송 병원 선정 비율이 커진 데는 올해 2월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을 강화한 조치가 한몫했다. 응급처치를 하며 병원을 찾아야 하는 구급대의 업무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였다. 여기에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응급실 의료진이 부족해 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병원이 늘어난 것 또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구급대 재이송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10일까지 구급대가 환자를 네 차례 재이송한 사례는 17건이나 된다. 상반기가 지나기도 전에 지난해(16건)와 2022년(10건) 기록을 웃돌았다.
올해 상반기에 두 차례 재이송된 사례(78건)도 지난해 1년간(84건)의 수치와 비슷하다.
응급실 이송 거부로 의식불명 상태에 놓인 28개월 여아처럼 지난달 9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구로역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다친 작업자가 전문의 부족으로 16시간 동안 병원 여러 곳을 전전했다.
올해 2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119 구급대의 출동 건수 및 이송 건수, 이송 인원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다소 감소했다. 출동 건수는 총 6만5005건으로, 전년 6만7443건 대비 3.6% 줄어들었다. 이송 건수는 3만8473건에서 3만5278건으로, 이송 인원은 10만5916건에서 10만283건으로 각 8.3%, 5.3%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