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딥페이크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페이크 콘텐츠 분석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디지털감정(포렌식) 등에 활용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9일 국민 생활과 밀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정부 정책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5개 분야 12건의 데이터 분석과제를 선정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주요 과제로 국과연은 ‘AI 딥페이크 불법 콘텐츠 분석모델’을 내년 2월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가짜뉴스나 딥페이크 합성 영상 등으로 인한 피해가 급증한데 따른 조치다.
기술이 개발되면 인물이 포함된 동영상의 조작여부를 영상과 음성을 종합 분석해 탐지할 수 있다. 수사기관의 딥페이크 범죄 수사 역량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분석과제를 통해 기술 개발이 이뤄진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은 보이스피싱 조직검거에 활용되기도 했다. 국과연은 “해당 기술을 디지털 증거물의 감정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사업장 굴뚝 대기오염 배출 자동 탐지 지원 모델’ 개발도 이뤄진다. 약 9억 개에 달하는 사업장 굴뚝의 대기오염물질 항목별 측정값과 유량, 온도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 탐지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그간 맨눈으로 식별하던 대기오염 발생물질 배출 여부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산재신청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기술도 개발이 추진된다. 그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재신청을 자동 분류하고, 신속한 처리를 지원하는 ‘AI 기반 분류 모델’을 만들어 업무에 활용하게 된다.
‘농작물 병해충 발생 및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도 과제에 포함됐다. 지난 10년간의 병해충 발생 및 피해정보, 작물생육정보, 지역별 온도, 습도, 강우 등을 토대로 기상변화에 따른 병해충 발생 가능성과 그에 따른 위험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게된다. 의약품 수급 위험을 사전에 예측해 의약품 공급 안정성을 높이는 ‘주요 질병별 의약품 품절 예측 지원모델’도 개발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