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80년대 중동 건설 붐

장정현 콘텐츠에디터

1970~1980년대 널리 불렸던 이 노래, 생각날지 모르겠다. “아빠가 떠나신 지 사계절이 갔는데 낯선 곳 타국에서 얼마나 땀 흘리세요 오늘도 보고파서 가족사진 옆에 놓고 철이 공부 시키면서 당신만을 그립니다….” 1979년 가수 현숙이 불러 중동근로자 가족들을 울린 ‘타국에 계신 아빠에게’다. 이 노래는 중동 붐을 상징하는 ‘18번 곡’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았다.

당시 중동국가 건설 붐은 대단했다. 넘쳐나는 오일달러를 도로, 항만, 공항 등 사회간접자본에 아낌없이 쏟아부었다. ‘베트남 특수’가 끝나고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뭔가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했던 한국에 오일달러로 흥청대는 중동은 ‘하늘이 준 메시지’였다. 1973년 삼환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 고속도로 공사를 따내면서 중동 진출 서막을 알렸다. 박정희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업은 기업들이 앞다퉈 중동으로 향했다. 1975년 7억5000만달러에 불과하던 건설수주액이 1980년 82억달러로 10배 이상 늘었다. 이 기간 한국 외화수입액의 85.3%가 오일달러였다. 근로자 수도 급증했다. 1975년 6000명이던 것이 1978년 10만명에 육박했고 한때 20만명에 달했다.

[경향으로 보는 ‘그때’]1970~80년대 중동 건설 붐

경향신문은 1982년 3월15일자에 전면을 할애해 ‘중동근로자들의 피땀 24시 현지르포’를 실었다.

인터뷰 내용이 눈물겹다. 쿠웨이트에서 만난 한동국씨는 “1년간 근무하면서 시내엔 딱 세 번 나가봤다. 쉬는 날 밖에 나가 돈을 쓰느니 부족한 잠을 보충한다”고 말했다.

근로환경은 가혹했다. 7, 8월이면 기온이 섭씨 40~60도까지 올라가 온몸을 가리고 작업해야 한다. 수돗물엔 석회분이 많아 마시면 배탈이 나고 담석증을 유발했다. 오전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식사시간 빼고 하루 10시간, 월 2회 휴무 280시간 씩 일했다. 하지만 근로자들은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시간 외 근무를 밥 먹듯 했다. 금녀·금주에다 오락거리 하나 없는 건설현장은 유배지나 다름없었다. 모래밥을 씹으며 ‘싸대기’(과일 등을 발효시켜 만든 밀주) 한 잔으로 타국살이의 외로움을 달랬다.

부당노동행위도 다반사였다.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근로자에게 불리한 계약을 체결하고, 임금을 상습적으로 체불하고, 부실한 식단을 제공하는 등 부당노동행위를 일삼았다”(1988년8월25일자 경향신문). 오일달러는 이렇듯 근로자들의 피땀이 밴 ‘눈물 달러’였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중동 개그’가 SNS를 뜨겁게 달궜다. “대한민국에 청년이 텅텅 빌 정도로 한번 해보라. 다 어디 갔느냐고, 다 중동 갔다고.” 16년래 최악의 청년실업률 해결책이 고작 ‘중동에 가라’라니, 중동 순방 후 제2의 중동 붐에 혹한 박 대통령의 발언이 청년들을 분노케 했다. 자국 청년들도 일자리가 없어 아우성치는 곳이 중동이다. 약속의 땅은 없다. ‘니가 가라, 중동’에 공감하는 이유다.


Today`s HOT
합동 군사 훈련 위한 대만 공군 미라지 전투기 이탈리아에서 열린 배들의 경쟁 스타십 우주선의 성공적 이륙,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다. 두르가 푸자 축제를 기념하는 방글라데시 신도들
사형 반대 캠페인 동참 촉구 시위 방글라데시 두르가 푸자 축제를 기념하는 신도들
네팔의 다샤인 축제에 가는 사람들의 발걸음 낮은 주택 임대료 요구 시위를 벌이는 스페인 시민들
허리케인 밀턴, 플로리다 주를 강타하다. 2024 노벨문학상 첫 한국 작가 한강 레바논에서 대피하는 터키 국민들 반려견과 고양이에게 무료 백신을 제공하는 수의사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