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이맘때, 20년 뒤 이맘때

강수돌 고려대 교수·경영학
[세상읽기]20년 전 이맘때, 20년 뒤 이맘때

“정부는 심각한 외환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21일 밤 국제통화기금(IMF)에 200억달러의 구제금융을 공식 요청했다.” 20년 전, 이맘때였다. 캉드쉬 IMF 총재가 한국에 왔고, 1997년 12월3일 김영삼 정부와 IMF 간 협상이 타결됐다. ‘IMF체제’의 시작이었다.

당시 주류 학계나 언론들은, 1997년 7월 태국발 동남아 외환위기라는 외부 요인과 재벌 중심 경제, 방만한 차입경영과 관치금융, 부정부패, 대립적 노사관계 등 내부 요인이 결합, ‘IMF체제’가 왔다 했다.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과 더불어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급속 추진되었으나 노동계나 시민사회의 저항도 만만찮았다. 경제 및 사회의 개혁이라는 명분에 이견은 없었지만, 과연 어떤 방향과 내용으로 바꿀지에 대해선 시각차가 컸다.

단순화의 위험이 있지만, 자본 진영은 이윤을 위한 여건 개선 시 온 사회가 득을 본다 했고, 노동 진영은 노동조건과 삶의 질을 개선해야 나라도 번영한다 했다. 그러나 1998년에 출범한 김대중 정부는 ‘IMF체제’에 발목이 잡혀 어정쩡하게 정리해고제 및 근로자파견제 도입 등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을 집행했다. 2003년에 출범한 노무현 정부 역시 출범 전과 달리 자본과 기득권층의 눈치를 보다 결국 신자유주의 물결에 쉬이 휘말렸다.

<쇼크 독트린>을 쓴 나오미 클라인은 1997년 말에 들이닥친 한국의 외환위기를 “충격요법”이라 했다. 즉 미국 월가로 상징되는 세계금융자본이 인위적으로 한국 등 아시아 국가의 금융시장을 붕괴시켜 세계금융시장으로 편입시켰다는 것. 그도 그럴 것이, 세계금융자본의 눈엔 한편으로 한국의 갑갑한 국가-재벌 동맹체가, 다른 편으로 1987년 대투쟁 이후의 민주노동운동이 완전한 신자유주의 구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월가와 세계자본 세력에는 ‘국가 부도’라는 사상 초유의 충격이 신자유주의를 관철시킬 무기였다.

아니나 다를까, 당시 한국은 IMF 및 선진 각국으로부터 수백억달러를 빌려와 부도를 막는 조건으로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즉 자본시장 개방, 국가 규제 완화, 공기업 민영화, 그리고 노동 유연화 및 정리해고를 강행했다. 흥미롭게도 당시 대통령 김대중은, 미국 역사학자 B 커밍스가 “IMF의 서울지부장”이라 평할 정도로 IMF식 구조조정을 강행했다. 아마 (세계자본주의의 관리자) IMF 및 (무한 이윤 추구자) 세계금융자본의 입장에선, 독재정권 시절 민주화 투사였던 김대중이 대통령이 되어 1995년에 창립된 민주노총과 더불어 기존의 ‘국가-재벌 동맹체’ 대신 ‘국가-노동 동맹체’를 건설하면, 자본의 돈벌이 조건이 악화할 것이 두려웠을 것이다. 바로 그 시점에 ‘국가 부도’라는 충격요법은 효과적이었고, ‘제2의 경술국치’나 ‘금 모으기 운동’ 등으로 상징되듯 애국주의 프레임이 위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지난 20년간 우리가 경험한 바, (자본과 시장을 위해 온 자원을 동원하는) 신자유주의는, 민주·보수 정부와 무관하게 정치·경제, 교육·문화 등 사회 전반을 황폐화했다. 그 와중에 극우보수는 민주정권에 비해 더욱 부패, 타락하여 마침내 ‘사자방 비리’ 또는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불러 (1년 전 시작된) 촛불혁명으로 추락했다. 현재 우리는 직장인 85% 이상이 “언제 잘릴지 모르는” 불안의 시간 속에, 최고의 청년실업, 최저의 출산율, 최고의 산재, 최저의 행복도로 산다. ‘IMF 트라우마’의 결과다.

생각건대, 20년 전 우리가 ‘IMF체제’에 빠졌던 역사를 냉정히 성찰하지 않으면 촛불혁명에도 불구, 향후 20년 뒤 한국 사회는 더 비참해진다. 내 생각은 이렇다.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의 열기는 자본에는 두려움의 원천이었지만 민초들에겐 인간다운 삶을 향한 집합적 열정이었다. 이를 증명하듯, 1985년부터 1996년까지 10여년 경제성장률은 최고조였다. 바로 그 무렵 우리는 더 이상 자본과 정권을 위한 구조개혁이 아니라 민주와 복지를 위한 구조혁신이 필요했다. 즉 들끓는 민중의 열기를 등에 업고 두려움을 넘어 개발 독재 시절 구축된 국가-재벌 동맹체를 타파, 민주-생명 공동체를 창조해야 했다.

이 시대적 과제가 지난 20년 이상 지체되었기에 오늘 우리의 몸과 마음이 아프다. 20년 뒤 더 이상 아프지 않고 더불어 웃는 사회가 되려면, 지금부터 삶의 프레임을 제대로 바꿔야 한다. ‘아프니까 청춘’이 아니라, 아프니까 함께 나서야 하지 않나?


Today`s HOT
홍수 피해로 무너진 교회를 청소하며 돕는 폴란드 사람들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승리해 축하하고 있는 브루어스 팀 페루 활동가들, 당국의 산불 비효율 대응에 시위하다. 레바논 상점에서 일어난 전자기기 폭발
재앙처럼 번지는 남미 산불 러시아의 공습으로 파손된 우크라이나 교회
이색 대회 독일 취미 경마 선수권 대회 산불과 그로 인한 연기로 뒤덮인 포르투갈
이집트 기차 충돌로 어린이 2명 사망 이 기쁨이 203주년, 과테말라 독립 기념일 바위로, 쓰레기로…혼돈의 볼리비아 도로 폭풍 '보리스', 유럽 중·동부 강타...최소 17명 사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