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전쟁이 만든 말 ‘천고마비’

엄민용 기자

한낮의 열기도 많이 수그러졌다. 이제 가을이다. 이 무렵이면 흔히 쓰는 말이 있다. ‘천고마비(天高馬肥)’다.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뜻으로, 한가하고 풍요로운 가을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이 말의 원뜻은 섬뜩하다. <한서(漢書)>에 나오는 이 말은 ‘북방의 흉노족이 키운 말들이 잔뜩 살쪘으니, 이제 곧 그들이 쳐들어와 식량과 가축을 노략질해 갈 것’이라는, 경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시성(詩聖) 두보의 종조부인 두심언이 북쪽 변방을 지키러 나간 친구 소미도에게 보낸 편지에도 ‘추심새마비(秋深塞馬肥)’라는 구절이 있다. “가을이 깊으니 변방의 말이 살찌는구나”라는 뜻으로, 이 또한 흉노족의 침입을 경계하라는 의미다.

즉 ‘천고마비’는 ‘하늘이 맑고 모든 것이 풍성하다’라는 낭만적인 의미가 아니라 ‘전쟁이 일어날 위험한 계절’이라는 무서운 뜻에서 유래한 말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속뜻은 사라지고 글자의 의미만 남아 가을의 풍요로움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 이렇듯 세월 속에서 변하는 것은 강산만이 아니다. 말도 변한다.

이맘때면 가을의 넉넉함을 뜻하는 말로 ‘오곡백화(五穀百花)’도 적잖이 쓰인다. 하지만 이 말은 예나 지금이나 바른말이 아니다. 시인 윤동주가 생전에 즐겨 불렀다는 흑인영가 ‘내 고향으로 나를 보내주오’에도 “내 고향으로 날 보내주오/ 오곡백화가 만발하게 피었고 종달새 높이 떠 지저귀는 곳/ 이 늙은 흑인의 고향이로다”라는 구절이 있다. 살아생전 줄곧 타관을 떠돈 식민지 청년은 이 노래를 부르며 자신의 고달픔과 서러움 그리고 조국을 향한 그리움을 달랬을 것이다. 이 노래는 예전에 중·고교 음악책에 실리기도 했다.

그러나 ‘오곡백화’라고 하면 ‘다섯 가지 곡식과 100가지 꽃’이다. 뜬금없는 꽃 타령이 생뚱맞다. 꽃으로는 배를 채울 수 없고, 누구도 ‘꽃이 익어 간다’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지금 우리 들녘에서 익어 가는 것은 ‘오곡백화’가 아니라 ‘오곡백과(五穀百果)’다. 이때 ‘오곡’은 모든 곡식을, ‘백과’는 갖가지 과실을 뜻한다.


Today`s HOT
뼈대만 남은 덴마크 옛 증권거래소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불법 집회 인도네시아 루앙 화산 폭발 시드니 쇼핑몰에 붙어있는 검은 리본
케냐 의료 종사자들의 임금체불 시위 전통 의상 입은 야지디 소녀들
2024 파리 올림픽 D-100 한화 류현진 100승 도전
솔로몬제도 총선 실시 수상 생존 훈련하는 대만 공군 장병들 폭우로 침수된 두바이 거리 인도 라마 나바미 축제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