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벌레와 꿀벌에 대해 더 이야기하자

홍진수 정책사회부장

영상으로 만들어진 공익광고에서 북극곰이 먹이를 찾아 떠도는 모습을 보면 막연하게 ‘기후’가 ‘위기’에 빠졌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바쁘게 일상을 보내다보면 북극곰도, 기후위기도 곧 잊어버린다. 밤에도 푹푹 찌는 더위에 시달리고, 맑은 하늘에서 난데없이 내리는 소나기를 만날 때면 한번쯤 다시 기후위기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역시 날씨가 선선해지고 나면 곧 잊혀질 테다. 그래서 최근 한국에서 화제가 된 두 곤충은 참으로 소중하다. 이들에 대해서 끊임없이 이야기를 하다 보면 결국에는 기후위기라는 잊어버린 주제에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홍진수 정책사회부장

홍진수 정책사회부장

이달 초 한국 사람들의 입에 한동안 많이 오르내린 단어 중 하나는 ‘사랑벌레’다. 영어로는 ‘러브버그(love bug)’. 본명은 ‘털파리’라고 하는데 짝짓기를 한 암컷과 수컷이 이후에도 내내 꽁지를 붙이고 함께 날아다닌다고 해서 이런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

사랑벌레는 지난달 말 서울 은평구를 비롯한 서울 서북부 지역에 갑자기 ‘대발생’했다. 처음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지역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알려졌고, 이후 언론도 이 사건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지금까지 나온 기사 등을 종합하면 사랑벌레는 ‘털파리류’의 한 종이다. 외국에서 온 ‘생태계 파괴자’는 아닌 듯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대대손손 살아온 자생종인데 기록이 안 된 것인지, 외국에서 들어왔는데 우리가 지금까지 몰랐던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2013년에도 털파리류 중 하나로 주로 산과 들에 서식하는 검털파리가 도심에 출몰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이번에 나타난 사랑벌레도 독성이 있다거나, 질병을 옮기는 등 위험한 곤충은 아니라고 하니 다행이다.

‘사랑벌레 대발생’의 원인은 아직 모른다. 장마로 인한 습도 상승 혹은 기후변화로 인한 겨울 기온 상승 등이 이유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측한다. 통상적으로 털파리류는 1년에 한 번, 늦봄에서 초여름에 성체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올해는 발생 시기가 늦은 편이다. 지난봄 극심한 가뭄이 닥치면서 흙속에 사는 사랑벌레 유충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다가 장마가 시작되면서 한꺼번에 사람들의 눈앞에 나타났을 수 있다. ‘따뜻한 겨울 기온’도 이유일 수 있다. 겨울이 추우면 곤충알의 생존율이 떨어지는데 지난겨울 기온이 올라가면서 알이 예년보다 많이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 극심한 봄 가뭄이든 따뜻한 겨울이든 인간이 만들어낸 기후위기가 수많은 사랑벌레를 인간의 거주지로 불러낸 이유 중 하나임은 틀림없어 보인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우리는 지난 겨울과 봄에도 곤충에 대해 자주 이야기했다. 사랑벌레보다는 훨씬 더 친숙한 ‘꿀벌’이 주인공이었다. 사랑벌레가 너무 많아서 문제였다면 꿀벌은 너무 적어서 문제였다.

꿀벌은 어느날 갑자기 사라졌다. 지난 1월 남부지방 양봉농가에서 월동 중이던 꿀벌들이 집단으로 없어졌다. 많은 언론이 이 사건을 ‘꿀벌 실종 미스터리’로 보도했다. 꿀벌 실종은 전국적으로 발생했고 조사를 진행한 농촌진흥청은 지난 3월 “지난해 발생한 꿀벌응애류,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기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발표했다. 직접 원인은 응애지만 이번에도 그 끝에는 기후위기가 만들어낸 환경 변화가 있었다.

도시는 사랑벌레에게 좋은 환경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털파리류의 유충은 흙에서 살아야 하는데 도시에는 이러한 곳이 그리 많지 않다. 사랑벌레는 사람들이 기겁을 할 만큼 대발생을 했지만 그리 오래 사람들의 곁에 머물지는 못할 것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보면 털파리류 성충 수컷은 3~4일, 암컷은 일주일가량 생존하는 것이 고작이다. 한 번에 200~300개가량 알을 낳기는 하지만 생존율이 높지도 않다. 전문가들은 “길어야 2~3주 정도면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러면 사람들도 곧 사랑벌레의 존재를 잊을 것이다. 앞서 꿀벌도 언론보도가 잦아들자 사람들의 관심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우리는 벌레들이 눈앞에서 사라지더라도 벌레들에 대한 이야기를 멈춰서는 안 된다. 처음에는 그 외양에, 털파리라는 귀엽지 않은 이름에 미워하기부터 했지만, 이제는 그들이 왜 이렇게 갑자기, 한꺼번에 나타났는지 천천히 생각해봐야겠다. 또 언제나 우리 곁에 머물 것처럼 보였던 꿀벌들이 지금 어떤 위기에 처해 있는지 계속 알아보고 주시해야 한다. 사랑벌레도, 꿀벌도 기후위기의 주범인 인간들에게 마지막 기회를 주기 위해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


Today`s HOT
뼈대만 남은 덴마크 옛 증권거래소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불법 집회 인도네시아 루앙 화산 폭발 시드니 쇼핑몰에 붙어있는 검은 리본
케냐 의료 종사자들의 임금체불 시위 전통 의상 입은 야지디 소녀들
2024 파리 올림픽 D-100 한화 류현진 100승 도전
솔로몬제도 총선 실시 수상 생존 훈련하는 대만 공군 장병들 폭우로 침수된 두바이 거리 인도 라마 나바미 축제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