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절집의 자취 지켜온 큰 나무

고규홍 나무 칼럼니스트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사라진 절집의 자취 지켜온 큰 나무

사람 떠난 자리에 나무가 남는다. 아름다운 남도의 섬, 진도를 대표하는 노거수인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도 그렇다. 가뭇없이 사라진 사람살이의 흔적을 지우고 새로 들어온 사람들이 옹기종기 이룬 보금자리 한 귀퉁이를 버티고 서 있는 큰 나무다.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사진)’ 곁에는 구암사라는 절집이 있지만, 이 역시 새로 지은 절집이다. 구암사라는 이름은 절집 뒷산에 ‘비둘기 바위’ 혹은 한자로 ‘구암(鳩巖)’으로 부르는 큰 바위가 있어서 붙였고, 이 자리는 흔히 ‘상만사 터’라고 부른다. 마을 이름인 ‘상만리’에 기대어 ‘상만사’라는 절집이 있었을 것으로 본 때문이다. 이름조차 알기 어려울 만큼 오래전에 사라진 절터라는 이야기다.

오래된 흔적이라 해야 절집 앞마당에 있는 오층석탑이 유일하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가졌지만, 실제 조성은 고려 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석탑의 연원을 바탕으로 고려 초기에서 중기 사이인 1000년쯤 전에는 이 자리에 번창한 절집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오층석탑에서 불과 100m쯤 떨어진 곳에 서 있는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는 600년쯤 이 자리에서 살아왔다. 옛 절집에 있던 시절에는 석탑의 위치를 기준으로 짐작건대 큰법당 앞 너른 마당이나, 마당 가장자리의 울타리쯤에 있었던 나무다.

나무높이 12m,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6.5m, 뿌리둘레는 7.5m 가까이 되는 이 비자나무는 규모에서 대단히 큰 나무라 할 수는 없지만, 생김새만큼은 옹골차다. 언제 누가 심은 나무인지는 알 수 없어도 절집의 흥망성쇠를 또렷이 지켜본 나무임에는 틀림없다.

나무는 마을의 쉼터이면서 사람의 안녕을 지켜주는 수호신이기도 하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에 매달렸다가 떨어져도 다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사람을 위할 줄 아는 나무라는 이야기다. 절집의 기억을 간직한 ‘절집나무’가 옛사람 떠난 자리에 새 사람들을 품고 ‘정자나무’로 살아가는 세월의 풍진이 아득히 그려지는 풍경이다.


Today`s HOT
러시아 미사일 공격에 연기 내뿜는 우크라 아파트 인도 44일 총선 시작 주유엔 대사와 회담하는 기시다 총리 뼈대만 남은 덴마크 옛 증권거래소
수상 생존 훈련하는 대만 공군 장병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불법 집회
폭우로 침수된 두바이 거리 인도네시아 루앙 화산 폭발
인도 라마 나바미 축제 한화 류현진 100승 도전 전통 의상 입은 야지디 소녀들 시드니 쇼핑몰에 붙어있는 검은 리본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