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한 밥값, 따뜻한 밥 한 그릇

김관욱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사고가 반복되면 그건 사고가 아닌 사건이다. 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도 있지만, 항상 같은 얼굴은 아니다. 만일 같은 얼굴의 사고가 반복된다면, 그건 시스템이 망가진 결과이며, 누군가에게 그 죄를 물어야 하는 사건이다. 따라서 2024년 6월24일 경기 화성시 리튬 배터리 제조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사고가 아닌 사건이다. 그 사건으로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중국동포 17명, 라오스인 1명, 한국인 5명이었다. 또 이주노동자가 피해의 중심에 있었고, 사망자 중 20명은 사내 하청노동자였다고 한다.

가장 위험한 현장에 또 하청업체 소속 이주노동자의 죽음이 반복되었다. 제대로 된 안전교육 및 대책이 마련되어 ‘있었더라면’이라는 해묵은 가정도 위선처럼 들린다. 모두가 알고 있지 않았던가. 그저 그 익명의 대상이 누가 될지 모를 뿐 반드시 산업재해 사망자의 수치는 어김없이 채워질 운명이라는 것을 말이다. 이제 더 이상 이주노동자 사이에서 한국이 왜 3D가 아닌 4D(Death가 추가)의 나라로 알려져 있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이지 않는다.

‘밥줄’을 찾아 이국땅에서 온 이주민들은 그것이 ‘목숨줄’이었는지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 같은 곳에서 근무했던 이주노동자들은 비상구가 어디 있는지 모른 채 일했으며, 단지 ‘안전하게 일하라’라는 통상적인 말만 들었을 뿐이라 증언한다. 이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이야기도 신빙성이 없어 보인다. 배려와 존중의 대상이 노동자가 아닌 기업에 맞춰져 있는 한 똑같은 얼굴의 사망 사건은 반복될 테니 말이다. 무서운 건 이것을 멈추려는 노력보다 나만 아니길 바라며 가슴을 쓸어내리는 모습과 어찌할 수 없었던 일이라고 무던하게 반응하는 모습들이 한국의 일상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이다. 이런 것이 바로 문화적 팩트다.

이번 사건을 보며 떠오른 또 다른 팩트는 밥의 상징적 의미가 노동자에게 차별적이라는 데 있다.

가장 먼저 ‘밥줄’은 노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 더럽고, 위험하고, 고되고, 사고사가 많다 하더라도 이게 ‘밥줄’이기에 버텨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때 밥줄은 위태로운 생명줄이다. 또 다른 밥은 ‘밥 한 끼’다. 2016년 19세의 나이로 홀로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다 사망했던 청년의 가방에서 컵라면이 발견됐다. 당시 그 허술한 밥 한 끼도 제때 먹지 못했다는 사실이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때 밥 한 끼는 허락되지 않는 휴식이자 여유일 테다. 마지막으로 노동자의 밥에는 ‘밥값’이 있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노동현장에서 밥값을 하라는 질타를 욕설과 함께 듣고 있을까. 과로죽음에 대해 다룬 김영선의 <존버씨의 죽음>에서 작가는 한국의 ‘밥값’에는 ‘욕값’도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이제 목숨값도 포함된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노동자에게 너무 싼 밥값을 지불하며 밥 한 끼 제대로 먹을 여유도 주지 않고, 밥줄을 손에 쥔 채 위태로운 일상으로 내몰면서 목숨마저 위협하는 것은 너무나 잔인하지 않은가. 지금처럼 이 똑같은 얼굴의 사건들이 반복되는 것을 보고 있자니 여전히 모두가 노력한다면 언젠가 좋은 삶이 펼쳐질 것이라 낙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의문이 든다. 그렇다면, 이 ‘잔인한 낙관’은 도대체 어디에서부터 온 것일까. 목숨값이 담긴 밥값이 잔혹한 현실임을 매번 목격하면서, 무엇이 모두를 이처럼 담담하게 만들었을까.

미국 영문학자 로런 벌렌트의 책 <잔인한 낙관>에는 우리의 감각중추가 역사를 학습했기 때문이라 답한다. 벌렌트는 일상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강렬한 느낌들이 압도적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그 느낌의 실체는 바로 일상의 위태로움이다. 그러한 일상으로부터 학습된 감각이 바로 무관심이다. 나아가 발전도 후퇴도 아닌 그 ‘답보상태’-재난과 참사가 반복된 일상-에 오히려 적응하는 것이 되레 희망이 되어버린 현실! 그것이 잔인하지만 우리의 현실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우리에겐 또 다른 밥이 있다. 지난 6월28일 이태원 참사의 희생자 이상은님의 부모님은 딸의 27번째 생일에 맞춰 무료 식사나눔을 실천했다. 밥값이 없어 밥 한 끼의 여유를 갖지 못하는 청년들에게 따뜻한 밥 한 그릇을 딸 대신 제공해준 것이다. 그 현장에서 먹은 김치찌개는 참으로 따뜻했다. 언젠가부터 우리는 밥 한 그릇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강렬하고 희망적인 느낌을 상실한 채 산다. 그렇지만 밥은 언제나 따뜻할 수 있다. 모든 노동자가 차별없이 잔인한 밥값이 아닌 따뜻한 밥 한 그릇을 상상할 수 있도록 무뎌진 일상의 감각을 깨트려야 하지 않을까.

김관욱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김관욱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Today`s HOT
인도의 스모그 현상 죽은 자의 날을 위한 빵을 만드는 볼리비아 풍습 됴쿄 방위성에서 열린 회담 반려동물이 있는 어느 멕시코 집 방문
아르헨티나에서 일어난 교통수단 파업 영국의 대학병원을 방문한 총리와 재무장관
러시아 정치 탄압 희생자 추모의 날 소방 구조 센터를 방문한 프랑스 내무부 장관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일어난 시위 도쿄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전시회 태풍 콩레이의 영향으로 인한 대만 상황 인도 빛의 축제 '디왈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