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슈비츠의 ‘월든’

고영직 문학평론가

가장 아름답고, 가장 잔혹한 낙원이었다. 어쩌면 나와 우리의 삶이란 약자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위에서 살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는 영화였다. 극장을 나오며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생환한 작가 장 아메리가 “가끔 히틀러가 사후에 승리를 거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고 한 말이 떠올랐다. 조너선 글레이저 감독의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Zone of Interest)>(2023)는 스위트 홈을 추구하며 안락을 위한 전체주의를 용인하려는 우리 안의 무의식을 통렬하게 꼬집는 영화였다.

여기, 여행엽서에 나올 법한 완벽한 집 한 채가 있다. 독일 장교 루돌프 회스 부부가 사는 집이다. 이들 가족이 사는 집은 지상에 구현한 그야말로 완벽한 천국이다. 남편인 루돌프 회스가 말을 타고 출근하면, 아내 헤트비히는 아이들을 돌보고 온 집 안을 아름답게 가꾼다. 이들의 정원에서는 온갖 꽃과 나무 그리고 작물들이 무럭무럭 잘 자란다. 유대인 하녀들은 집 안 구석구석을 쓸고 닦으며 가족들을 돌본다. 휴일이면 아이들과 강에서 소풍을 즐기며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한 나날들을 보낸다. 부족한 것 하나 없는 완벽한 나날이다.

문제는 모델하우스 같은 그들의 집 바로 옆에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가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들 부부는 누구도 저 ‘담장 너머’를 상상하지 않는다. 저 너머에 강제수용소가 있다는 흔적 자체를 지우기 위해 애쓴다. 아우슈비츠의 ‘월든’을 가꾸는 데 누구보다 진심이다. 유대인 문제의 최종적 해결이라는 이름의 인종청소 및 인종박멸을 추진했던 나치가 생태적 순수성을 지향하며 에코파시즘을 추구하려 했다는 점을 연결하고자 한 감독의 탁발한 의도가 읽힌다. 사람들은 아내 헤트비히를 두고 ‘아우슈비츠의 여왕’이라고 부른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괴물이 어떻게 탄생하는가를 다룬 영화였다. 그리고 그 괴물은 악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숱한 희생자들의 ‘신발’ 같은 유품들은 관객들이 어찌할 수 없이 영화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의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그렇듯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강제수용소 안의 끔찍한 풍경을 전혀 보여주지 않는다. 오직 총성 같은 소음, 굴뚝에서 하염없이 나오는 하얀 연기 등의 연출로 간접적으로 보여줄 뿐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음향’들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떤 소리가 사운드(sound)가 되고, 어떤 소리가 잡음(noise)이 되는지 우리는 식별해야 한다.

영화 속 부부는 실존 인물이었다고 한다.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장 회스 부부가 구현한 지상천국의 스위트 홈의 모습에서 현재 우리가 누리는 삶이란 역(逆)유토피아의 모습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저 담장 너머를 생각하지 않으려는 아우슈비츠 여왕의 모습은 현재 나의 모습과 얼마나 먼 것일까. 그리고 제노사이드(genocide·대학살)와 에코사이드(ecocide·생태학살) 사이의 거리는 얼마나 멀까 생각하게 된다. 자연을 대상으로 한 ‘살처분’은 지구 곳곳에서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일까. 나는 너무나 아름답게 꾸며놓은 아우슈비츠의 ‘월든’에 쉽게 입주하지는 못하겠다. 괴물은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고영직 문학평론가

고영직 문학평론가


Today`s HOT
이 기쁨이 203주년, 과테말라 독립 기념일 이집트 기차 충돌로 어린이 2명 사망 이색 대회 독일 취미 경마 선수권 대회 재앙처럼 번지는 남미 산불
태풍 야기로 인한 홍수로 침수된 태국 치앙라이 영국 공군대학에서 퍼레이드를 준비하는 윌리엄 왕자
네덜란드 해방에 기여한 사람들의 묘지를 방문한 사람들 허리케인 프랜신으로 파손된 미국의 한 매장
볼리비아 산불을 냉각하고 있는 사람들 브라질 원주민의 망토 반환을 축하하는 기념식 베네수엘라 청년당 창립 기념 행사 태풍 야기로 경찰의 도움을 받는 미얀마 주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