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간, 어디에선가

이설야 시인
[詩想과 세상]하여간, 어디에선가
안녕,

지구인의 모습으로는 다들 마지막이야

죽은 사람들은 녹거나 흐르거나 새털구름으로 떠오르겠지

그렇다고 이 우주를 영영 떠나는 건 아니야

생각,이라는 것도 아주 없어지진 않아

무언가의 일부가 되는 건 확실해

보이지 않는 조각들이 모여 ‘내’가 되었듯

다음에는 버섯 지붕 밑의 붉은 기둥이 될 수도 있어

죽는다는 건 다른 것들과 합쳐지는 거야

새로운 형태가 되는 거야

꼭 ‘인간’만 되라는 법이 어디에 있니?

그러고 보니 안녕, 하는 작별은 첫 만남의 인사였네

우리는 ‘그 무엇’과 왈칵 붙어버릴 테니깐

난 우주의 초록빛 파장으로 번지는 게 다음 행선지야 박승민(1964~)


“안녕,”이라고 시작하는 이 시는 “지구인”으로는 마지막 인사지만 전혀 슬프지 않다. 죽음의 문턱에 선 자들이 모여 서로를 위로하는 것 같기도 하고,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건네는 따뜻한 안부 같기도 하다. 시인에게 “죽는다”라는 단어는 “다른 것들”과의 합체를 의미한다. 죽은 사람들은 “새털구름”이나 “버섯 지붕 밑의 붉은 기둥”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은 ‘나’라는 집착을 벗어나, “무언가의 일부”나 “새로운 형태”가 되는 것이며, 끝나도 끝나지 않는 시간을 말한다.

“보이지 않는 조각들이 모여 ‘내’가 되었듯” 죽은 이후에는 비나 눈, 갈대나 버드나무가 될 수도 있다. 서로에게 번지면서 서로를 살릴 수도 있다. 꼭 무엇이 되지 않아도 괜찮다. 내가 누구인지 자꾸만 묻지 않아도 된다. 이 시를 읽고 나면, 나는 오늘 당신으로 살아보겠습니다. 당신의 죽음까지도 사랑하겠습니다!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안녕”은 마지막 인사가 아니라, 첫인사였음을 알게 될 것이다.


Today`s HOT
런던에서 일어는 겨울 연료 삭감 반대 시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암브로스와 르부쿤 영국의 차고스 제도 주권 시위 허리케인 밀턴이 상륙할 멕시코 상황
파키스탄에 일어난 폭발 사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주기 추모에 참석한 트럼프 전 대통령
골프계의 챔피언, 대만의 케빈 유 볼리비아 축제 속 황소와 투우사
새로운 허리케인 밀턴에 대비하는 주민들 계속되는 전쟁.. 모로코에서 시위하는 사람들 홍수로 피해 본 치앙마이, 구호 물품을 옮겨주는 코끼리 테니스 경기에서 힘차게 공을 치는 미국의 테일러 프리츠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