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기료 인상하면서 탈원전 탓, 사실 왜곡은 해법 될 수 없다

정부가 27일 3분기 전기요금 연료비 조정단가를 kWh(킬로와트시)당 5원 올리기로 했다. 한 달 평균 307kWh를 사용하는 가정은 다음달부터 전기요금이 1535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도시가스요금도 가구당 평균 2220원 인상돼 가계 부담이 커지게 됐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6~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는데, 이렇게 높은 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6.8%)이 마지막이었다.

분기당 최대 인상폭(3원)을 초과해 5원 올린 이유는 한국전력의 적자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에 7조7869억원 적자를 낸 한전은 연간 적자가 최대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에너지값이 치솟아도 요금에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발전에 쓰이는 연료비는 지난 5월 유연탄이 ㎏당 274.87원으로 1년 새 94% 급등했다. 벙커C유와 LNG도 각각 95%, 72% 올랐다. 그럼에도 정부가 한전의 적자를 탈원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 추 부총리는 최근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누적된 것은 지난 5년간 잘못된 에너지정책 때문”이라며 “원전 짓는 것을 중단하고 준공 시기를 늦추고 신재생에너지를 과도하게 늘리는 등 무리하게 탈원전했다”고 말했다.

실제로는 원전 가동이 늘었다. 1분기 원전 이용률은 84.1%로 박근혜 정부 때 평균 이용률(81.4%)보다 높았다. 지난 5월 전력거래량 원전 비중은 33.1%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포인트 증가했다. 원전 비중이 줄어 한전 적자가 누적된다는 정부 주장은 명백한 사실 왜곡이다. 전기요금 인상 책임을 전 정부의 탈원전 탓으로 떠넘기려는 구차한 술수이다.

단계적 전기요금 현실화는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한전의 불어나는 적자를 해소할 수 없다. 한전의 자구노력이 선행돼야 하며, 전력시장의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방안도 찾아야 한다. 발전용 연료에 붙는 세금과 기금을 한시적으로 감면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경계해야 할 일은 탈원전 추세를 거스르거나 전기사업 민영화와 같은 우를 저지르는 일이다. 전기 사용량은 갈수록 늘고, 그에 따라 탄소 배출량이 증가한다. 지난해 한국의 1인당 전기 사용량은 전년보다 5.1% 증가해 세계 3위였다. 전기 과소비를 줄이려는 각 기업과 가정의 노력은 탄소중립 실천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


Today`s HOT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황폐해진 칸 유니스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