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총선 참패 수습을 위한 내각·대통령실 인적 쇄신을 고심하고 있다. 내각과 대통령실 개편은 국정 실패를 반성하고 기조 변화의 진정성을 드러내 보일 핵심 조치다. 하지만 대통령실 주변에서 거명되는 인사들 면면을 보면 국정의 총체적 쇄신을 요구하는 민심에 부응할 수 있을지 심히 의문이다.
내각·대통령실 인적 쇄신은 총선 직후 즉각 단행될 것으로 관측됐다. 전례 없는 총선 결과에서 드러난 민의를 감안하면 속도감 있는 조치가 이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관섭 대통령비서실장·성태윤 정책실장 등 실장·수석급 참모들이 총선 이튿날인 11일 사의를 밝힌 마당이다. 그러나 14일에도 새 비서실장 지명 관측이 잠깐 돌다가 들어간 걸 보면 신속한 쇄신은 기대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윤석열 정부가 지난 2년간 보인 인사 난맥이 국정 기반 약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말로는 능력이 인사 원칙이라면서 검찰 출신이나 대통령 지인들을 요직에 채우며 국민을 실망시키는 인사의 연속이었다. 인재가 어찌 대통령 주변에만 있다는 것이냐는 의문이 국정 지지율 하락으로 표출됐다. 좁은 인재 풀에 의존하다 보니 인사는 매번 돌려막기나 찔끔 개편으로 끝났다. ‘3개월 장관’ ‘6개월 차관’ 같은 이해 불가 인사도 반복됐다. 인사 하나로 윤석열 정부의 무능·무책임을 드러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개편이 쇄신 바로미터로 주목받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를 완전히 새롭게 꾸릴 질적·양적 변화가 불가피하다.
하지만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인물들을 보면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총리에 권영세·주호영 의원,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등이, 비서실장으론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정진석·장제원 의원, 김한길 위원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모두 윤 대통령과 가깝거나 현 정부에 몸담았던 이들이다.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과 백지화·재추진 논란 당사자인 원희룡 전 장관이나 이태원 참사에도 버티기로 일관한 이상민 장관이 거론되는 데는 헛웃음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인적 쇄신에서부터 진정성 담긴 조치들을 내놓아야 한다. 돌려막기식 재탕 인사를 반복하는 것은 더는 용인될 수 없는 절체절명의 비상시국이라는 인식부터 다져야 한다. 인사에 앞서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년간의 국정 난맥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하고 국정에 새롭게 임하는 각오를 밝히는 것이 순리다. 널리 인재를 쓸 생각이라면 야당에 거국 내각 구성을 포함한 협치를 제의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