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2주기에 성찰해야 할 것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이 28일 서울 용산구 참사 현장에서 열린 ‘기억과 안전의 길’ 빌보드 개막식 기자회견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이 28일 서울 용산구 참사 현장에서 열린 ‘기억과 안전의 길’ 빌보드 개막식 기자회견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29일로 만 2년이다. 대통령실이 지척인 서울 도심에서 핼러윈을 즐기러 나온 시민 159명이 숨지고, 195명이 다친 이 사고는 세월호 참사에 이어 ‘국가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한국 사회에 다시 던졌다. 참사 발생 후 두 해가 지났지만 진실 규명도, 책임자 처벌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유가족은 거리의 투사가 됐다. 아들·딸·형제·자매를 잃은 이들이 조롱과 혐오를 견뎌가며 싸워야 하는 국가는 대체 어떤 국가인가. 이태원 참사가 던지는 물음의 답은 지금도 미완이다.

이태원 참사는 국가재난안전시스템의 총체적 부실을 보여주었다. 국가는 재난 예방에도, 응급구호에도 무능했다. 대통령실·행정안전부·경찰·지방자치단체 중 한 곳이라도 제 역할을 했다면 159명의 목숨이 스러지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참사가 발생하면 피해자들을 위무하고, 원인과 재발방지책을 찾고, 합당한 정치적·사법적 책임을 묻는 것이 국가가 할 일이다. 그럴 때 참사는 국민 통합과 안전사회의 이정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정부 대응은 반대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유가족들을 만나 사과하고 위로하지 않았다. 유가족들의 면담 요구를 한사코 거부했고,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대회는 ‘정치적 행사’라는 이유로 불참했다. “책임이라고 하는 것은 있는 사람한테 딱딱 물어야 되는 것”이라며 어떤 정치적 책임도 지기를 거부했다. 국가 재난안전관리 총책임자인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윤석열 정부의 최장수 장관으로 여태 자리를 지키는 게 단적인 예다. 이를 연료 삼아 피해자와 유가족을 향한 극우인사들의 혐오 발언이 활개를 쳤다. 세월호 참사 때의 그릇된 모습이 악성으로 반복된 것이다.

윤 대통령이 참사 뒤 보인 불통·무공감·무책임은 실패한 국정운영의 열쇳말이기도 하다. ‘입틀막’은 불통을, ‘대파 발언’은 무공감을,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VIP 격노설’은 무책임을 보여준다. 그로 인한 민심 이반의 결과가 ‘심리적 탄핵 상태’라는 지지율 20%이다. 모든 게 윤 대통령의 자업자득이다.

소통·공감·책임은 바람직한 정치적 태도이기에 앞서 인간적 도리이다. 정치도 국정운영도 결국 인간적 기초 위에서 하는 인간의 행위이고, 인간적 도리에 반하는 좋은 국정운영이란 있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에 대한 윤 대통령의 냉담에 국정운영 실패의 씨앗이 담겨 있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태원 참사 2주기를 맞아 윤 대통령이 국민 정서에 얼마나 공감하고 소통했는지 통렬하게 성찰하기를 바란다. 그 여하에 따라 윤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이 결정될 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향신문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Today`s HOT
베이징 스피드 스케이팅 우승 나라, 네덜란드 팀 할리우드 섹션에서 인도주의자 상을 수상한 마리오 로페스 중국에서 홍콩으로 데뷔한 자이언트 판다 '안안' 추위도 잊게 만드는 풋볼 경기 팬들과 작업자들의 열정
큰 세일기간 블랙프라이데이 주간인 브라질 그리스를 휩쓴 폭풍 '보라'
뉴욕에서 벌어진 추수감사절 기념 퍼레이드 루마니아 국회의원 선거
폭우로 인한 산사태 복구 상황 크리스마스 모형과 불빛을 준비하는 도시의 풍경 훈련을 준비하는 프랑스 해군들 프랑스-나이지리아 회담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