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대선까지 영향력 확보…‘레임덕’ 늦춰질 듯
새누리당 ‘당심’은 결국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을 택했다. ‘박근혜의 입’ ‘박근혜의 복심’으로 불린 이정현 의원을 새누리당호(號) 새 선장으로 세우며, 친박계에 힘을 실었다. 친박계를 향한 4·13 총선 참패 책임론을 거부하고, ‘친박 패권 심판’에도 동의하지 않은 결과다.
박 대통령에게는 내년 대선까지 당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정부 후반기 여권 내 ‘권력누수’를 늦출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하지만 ‘도로 친박당’ 논란과 ‘무혁신 여당’ 이미지는 숙제로 남게 됐다. 철저히 ‘대구·경북(TK)당, 친박당’을 확인하면서 수도권 중도파를 중심으로 한 당내 비주류들의 동요 등 후폭풍 여지도 남아 있다. 이 신임 대표가 일성으로 내건 ‘계파 화합, 정치 혁신’이 엉뚱한 방향으로 흐를 경우 그동안 친박·비박 갈등·충돌은 전혀 뜻밖의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역시나 친박당’
이정현 체제의 출범은 ‘개인전’보다는 ‘계파전’ 승리의 성격이 짙다. 일반·청년 최고위원 5명 중 4명이 친박계로 채워지면서다. 이 대표 당선으로 친박계는 여권 ‘주류’ 세력 자리를 유지하게 됐다. 당내 입지는 오히려 이전보다 공고해졌다. 박근혜 정부 2년차인 2014년 7·14 전대에서 비박계 김무성 대표에게 넘어간 당권을 친박계가 탈환하고, 지도부도 친박계가 장악했다. 20대 총선 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서, 당 대표 권한은 당시보다 대폭 강화됐다.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 친위 정당’이 탄생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총선 참패 이후 수세에 몰렸던 친박계로서는 ‘대반전’이라 할 정도의 성과다.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과 좌장격인 최경환 의원의 전대 불출마로 ‘2선 후퇴론’까지 거론됐던 때와는 달리 향후 당내 친박계의 ‘전진배치’가 예상된다.
박근혜 정부와 친박계의 일방독주식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으로 해석됐던 ‘총선 민의’는 잊혀지게 됐다. 비박계가 주장한 친박계 해체와 총선 참패 책임 규명도 멀어졌다. 비박계는 오히려 ‘2선 후퇴’ 위기에 몰렸다. 두 차례 단일화로 ‘단일후보’를 내고도 ‘비주류’ 자리를 확인한 것은 뼈아픈 부분이다.
이 같은 결과에는 친박계의 조직적 ‘몰아주기’가 힘을 발휘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호남 당 대표’ ‘무수저’를 내세운 이 대표의 선거 메시지와 인지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비박 단일후보’ 주호영 의원을 1만2475표의 큰 차이로 따돌렸다. 범친박계 이주영 의원이 2만1614표를 얻은 것을감안하면 압도적 수치다. 이 대표는 선거인단 사전투표와 대의원 현장투표, 여론조사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곤혹스러운 비박 잠룡들
친박계는 ‘미래권력’ 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게 됐다. 이 대표는 내년 대선과 관련해 ‘슈퍼스타 K 방식 토론회’를 통한 서바이벌 경선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하지만, 구체적 경선룰이나 외부인사 영입 과정 등에서 친박계가 집중 거론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이 부각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공개적으로 비박 단일후보를 지지한 김무성 전 대표나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은 난감한 입장에 놓이게 됐다.
‘수직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당·청관계가 변화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 대표가 청와대 정무수석·홍보수석을 연임하는 등 박근혜 정부 국정철학 실현에 앞장섰던 인물인 만큼, 여당에서 주도적으로 이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대표는 당선 직후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 국정철학을 누구보다 많이 이해하고 알고 있는 편”이라며 “다만 (민심과 차이 나는 부분은) 누구보다도 대통령과 정부에 신속하고 정확하고 횟수에 관계없이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