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건설적 역할 해야” 한 목소리
불안한 국제정세 속 인·태 전략 의지 과시
한·미 외교장관은 9일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기술을 제공하고 있다며 쌍방향으로 이뤄지는 북·러 군사협력에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두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으로 동북아 정세가 불안정해지는 상황과 관련해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한국을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9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박진 외교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회담을 마친 후 두 장관은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회담 내용과 성과를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은 쌍방향 관계”라면서 “북한이 러시아에 군사장비를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러시아가 북한의 군사 프로그램을 위해서 기술적 지원을 하는 것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장관과 함께 러시아가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해 북한에 군사기술을 이전하지 않도록 파트너들과 압박을 가하기 위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추가 조치를 논의했다”고 전했다.
박 장관은 “하마스가 사용하는 무기나 교리, 전략, 전술 등 모든 행태에 대해 북한과 관련성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 “북한과 연관성이 확인된다면 그에 따른 규탄을 북이 받아야 한다”고 했다. 다만 두 장관은 하마스가 북한의 무기를 사용한 직접적 증거가 있냐는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두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으로 동북아 정세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건설적 역할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박 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유럽의 안보위기가 계속 고조되는 상황에서 동북아에서 이런 러·북 간 군사협력, 무기거래에 의해 긴장이 고조되면 중국 국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그러한 위험한 거래가 이뤄지지 않도록 한·미가 함께 (중국의) 역할을 촉구하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블링컨 장관도 중국이 지닌 대북 영향력을 언급하며 “중국이 이런 영향력을 발휘해 북한이 무책임하고 위험한 행동에서 발을 떼도록 건설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장관은 내년에 유엔 비상임이사국을 맡는 한국의 역할, 이를 계기로 한 유엔 내 한·미·일 공조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블링컨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이 유엔 안보리 결의안 위반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내년에 한국이 미·일과 함께 유엔 안보리에서 상임·비상임 이사국으로서 기회를 포착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박 장관도 “내년부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하며 미국에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블링컨 장관의 방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무장충돌로 국제 정세가 불안한 가운데서도 조 바이든 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블링컨 장관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 일정을 소화한 뒤 한국을 찾았으며, 한국 일정을 마친 후에는 인도를 방문한다. 블링컨 장관은 이번 방문에 앞서 “우리가 가자지구 위기에 집중하는 상황에서도 국익 증진을 위해 인도·태평양과 다른 지역에 관여하고 집중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직접 의미를 설명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중동 위기 속에서도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번영·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대중국 견제에 방점이 찍혀있다는 점으로 미뤄볼 때 한·미·일 공조의 공고함을 중국에 보여주려는 의도로도 볼 수 있다. 특히 다음 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사전에 동맹국들을 돌며 유리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한·미 외교장관 회담 내용과 관련해 “중국과 관련해 전략적으로 함께 공유하는 접근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다”면서 “여기에는 남중국해, 동중국해, 대만해협 문제가 포함된다”고 말했다. 중국이 예민하게 생각하는 문제를 두루 언급한 것이다.
블링컨 국무장관 방한에 이어 다음 주에는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한국을 찾는다. 오스틴 장관은 13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 안보협의회(SCM)와 14일 유엔군사령부 회원국 국방장관회의에 참석해 한·미 동맹의 외연 확장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