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K방산’…시장·품목 넓혀 고공비행

곽희양 기자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전투기 KF21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전투기 KF21

한국 방위산업이 역사상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다. 2020년까지 연 4조원대였던 수출 실적은 2021년 9조원대, 2022년 23조원대, 지난해 18조원대로 껑충 뛰었다. 호황에는 외부 환경이 영향을 미쳤다. 3년간 이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년 가까이 진행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그리고 중국의 군사적 부상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함께 작용했다. 방산 업계에서는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과 ‘신속한 납품’을 한국 업체의 강점으로 꼽는다.

정부는 2027년까지 세계 방산 시장의 5%를 점유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2019~2023년 한국 방산은 전 세계 10위(2.0%)를 차지했다. 폴란드 대규모 방산 수출로 수치가 크게 오른 2022~2023년만 보면 세계 2위(10.9%) 수준이다.

전쟁 등 외부 환경을 제외했을 때, 한국 방산의 성장이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외부 환경이 항상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보장은 없다. 지난해 핀란드·노르웨이 등이 새로운 수출국이 되면서 수출 대상국이 12개국으로 늘었지만, 여전히 주요 수출국은 중동지역과 동유럽이다. 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경쟁국들이 20~40개국에 수출하는 것과 비교하면 소비자층이 얇다. 게다가 최근 서유럽 국가들은 유럽안보를 위해 유럽산 무기를 사달라고 강조하는 추세다.

수출 품목도 다양하다고 보긴 어렵다. 2010~2023년 방산 총수출의 29%는 자주포가 차지할 만큼 특정 무기에 편중됐다. 세계 방산 시장의 5%를 점유하려면 연 33조원대 수출을 해야 하는데, 상품군을 늘리지 않고서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출 대상국을 늘리는 방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미국 시장에 들어서는 것이 거론된다. 외국산 제품을 차별하는 미국산우선구매법(BAA)을 우회할 수 있도록, 방산 시장의 자유무역협정(FTA) 격인 국방상호조달협정(RDA)을 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다만 이 경우에는 국내 중소 업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이 전제돼야 한다. 미국이 유지보수와 수리·정비(MRO)를 동맹국에 맡기는 시장을 늘리고 있어, 이에 참여를 늘리는 방안도 거론된다.

수출 품목을 늘리는 방법으로는 첨단 기술분야에서 동맹국과의 공동연구부터 확대하는 안이 거론된다. 미국의 F-35 전투기 개발 과정에서 호주·캐나다·덴마크 등이 협력한 것과 같은 방식이다. 앞으로는 차세대 전투모델인 유·무인 복합체계를 비롯해 인공지능(AI), 로봇, 반도체 영역에서 협력이 요구된다.

수출국을 대상으로 한 군의 교육지원과 정부의 품질보증, 수리부족 지원 등의 패키지 상품도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언급된다. 업계 관계자는 “전쟁 등의 외부 변수에 과도하게 의존하려 하기보다는, 품목과 시장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파리 모터쇼에 참석한 프랑스 대통령 첫 공습받은 레바논 북부 마을 합동 군사 훈련 위한 대만 공군 미라지 전투기 이탈리아에서 열린 배들의 경쟁
허리케인 밀턴, 플로리다 주를 강타하다. 스타십 우주선의 성공적 이륙,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다.
2024 노벨문학상 첫 한국 작가 한강 두르가 푸자 축제를 기념하는 방글라데시 신도들
레바논에서 대피하는 터키 국민들 반려견과 고양이에게 무료 백신을 제공하는 수의사들 낮은 주택 임대료 요구 시위를 벌이는 스페인 시민들 방글라데시 두르가 푸자 축제를 기념하는 신도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