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군사거래를 언급하면서 ‘러시아와 북한’으로 호명했다. 대통령실은 “민족이라고 북한이 어떤 짓을 하든 맨 앞자리에 불러줘야 한다는 것은 우리 정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한·중·일’을 ‘한·일·중’으로 바꾼데 이어 국가 호명 순서를 통해 강경한 대북관과 한·미·일 밀착 등 외교 기조를 드러내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윤 대통령의 미국 뉴욕 방문에 동행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유와 연대, 법치에서 한국과 얼마나 진정 협력하느냐가 일차적 기준”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고위 관계자는 “러시아와 북한에 대해선 딱 정해놓은 원칙이나 순서가 없다”면서도 “그러나 현 상황에서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하며 우리에게 더 직접적으로 위해를 가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하다 보니 북한이 뒷자리에 간 게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러시아와 북한 군사 거래는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도발이 될 것”이라며 러시아를 먼저 호명했다. 연설문에도 해당 부분에 ‘러·북’으로 러시아가 먼저 적혔다. 윤석열 정부는 한·일 밀착 관계 등을 고려해 그간 ‘한·중·일’로 부르던 동아시아 3국 순서를 ‘한·일·중’으로 바꾼 바 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연설에서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개혁을 언급한 데는 “현재 유엔과 안보리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일단 지적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상임이사국 거부권 제한이나 구성 확대 등을 제시한 데 대해 명시적 찬성이나 반대를 피하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한국 정부는 그간 일본 등의 상임이사국 추가 합류안 등에 부정적 입장을 보여왔다.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이것(안보리 개혁 문제)이 어떻게 될지 단시간 내 결정이 나기 힘들다”면서 “일단 우방국을 중심으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조연설에 또다른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두고는 “중국에 편의를 봐주거나 다른 정치적 목적이 있어서 제외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국무총리가 곧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전에 가기 때문에 중국과는 여러모로 필요한 소통과 신뢰를 만들어가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