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경
경향신문 기자
최신기사
-
알고 쓰는 말글 딴전 ‘명태 한 마리 놓고 딴전 본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하고 있는 일과는 상관없는 엉뚱한 일을 함을 이르는 말이다. ‘딴전’은 ‘부리다’ ‘피우다’와도 짝을 잘 이룬다. ‘딴전 보다’ 대신 ‘딴전 부리다’ ‘딴전 피우다’로 바꾸어 써도 의미가 상통한다. ‘딴전’은 순우리말이 아니다. ‘딴전’의 ‘딴’은 ‘다른’의 옛말이다. ‘딴마음, 딴사람, 딴살림, 딴판’의 ‘딴’과 같다. ‘전’은 한자어로 가게 전(廛)을 쓴다. 물건을 사고파는 가게를 말한다. 쌀과 그 밖의 곡식을 파는 가게를 이르는 ‘싸전’, 생선 따위의 어물을 파는 가게를 의미하는 ‘어물전’의 ‘전’이다. 허가 없이 길에 함부로 벌여 놓은 가게를 가리키는 조선시대 ‘난전’의 ‘전’도 마찬가지다.
-
알고 쓰는 말글 한참 “한참 동안 너를 기다렸다.” 여기서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이란 의미다. 꽤 오랫동안을 뜻하는 ‘한동안’과 한뜻이다. ‘한참’의 ‘참’은 한자로 참(站)이다. 이 ‘참’은 ‘역참(驛站)’의 준말이다. 역참은 중앙 관아의 공문을 지방 관아에 전달하거나 벼슬아치가 여행이나 부임을 할 때 말을 공급하던 곳을 말한다. 요즘처럼 교통이 발달하기 전엔 공문을 전달할 때 말을 이용했다. 이때 지친 말을 새로운 말로 갈아타거나 사람들이 잠깐 동안 머물러 쉴 수 있도록 일정한 거리마다 마련하여 놓은 장소가 바로 역참이다. 지금의 기차역이나 고속도로 휴게소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곳이다.
-
알고 쓰는 말글 선소리 ‘선소리’는 이치에 맞지 않은 서툰 말을 의미한다. 엉뚱한 말을 일컫는 ‘생(生)소리’와 뜻이 비슷하다. ‘선소리’의 ‘선’은 ‘선무당’ ‘선밥’ ‘선웃음’ ‘선잠’의 ‘선’과 같은 뜻이다. ‘선’은 ‘익숙하지 못하다’ ‘빈틈이 있고 서투르다’를 뜻하는 ‘설다’에서 왔다. ‘설다’의 관형형인 ‘선’이 접두사가 된 것이다. ‘선’은 ‘서툰’ 또는 ‘충분치 않은’의 뜻을 더한다. ‘선소리’는 ‘쓸데없는 소리’와 의미가 상통하는 면이 있다. ‘듣기에 거슬리는 소리’나 ‘쓸데없는 소리’ 하면 ‘신소리’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신소리’는 상대편의 말을 슬쩍 받아 엉뚱한 말로 재치 있게 넘기는 말을 가리킨다. 나쁜 의미보다는 좋은 뜻을 지닌 말인 셈이다. 듣기에는 거슬리지만 도움이 되는 말은 ‘쓴소리’다.
-
알고 쓰는 말글 뇌졸중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갑자기 터져 뇌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나타나는 여러 신경 증상을 일컫는다. 졸중(卒中)은 졸중풍(卒中風)의 줄임말이고, ‘뇌졸중’은 ‘뇌졸중풍’이 줄어든 말이다. 요즘은 그냥 ‘뇌중풍’이라고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뇌졸중’을 ‘뇌졸증’으로 잘못 알고 있다. 아마도 ‘합병증’ ‘통증’ ‘우울증’ 등 질병이나 증상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단어에 ‘증’이 붙다 보니 그렇게 생각하는 듯하다. ‘졸’은 ‘갑자기’를 뜻한다.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것이 ‘졸도’다. ‘뇌졸중’의 ‘중’은 가운데를 뜻하는 게 아니다. ‘중’에는 ‘맞다’ ‘맞히다’란 의미도 있다. 화살 따위가 목표물에 정확하게 맞는 것이 ‘적중’이요, 쏘는 족족 들어맞는 것이 ‘백발백중’이다. 이 ‘중’이 ‘뇌졸중’의 ‘중’과 같은 뜻이다. 따라서 ‘뇌졸중’은 ‘뇌가 갑자기(졸) 바람을 맞았다(중)’는 의미다.
-
알고 쓰는 말글 바쁜 와중에 ‘바쁜 가운데’처럼 형용사나 동사 뒤에 ‘ㄴ/는 가운데’를 붙여 쓰면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는 범위의 안에서’라는 뜻이 된다. 한데 ‘ㄴ/는 가운데’를 써야 할 곳에 ‘바쁜 와중에’처럼 ‘ㄴ/는 와중에’를 쓰는 것을 적잖게 볼 수 있다. 단어의 정확한 뜻을 모른 채 사람들이 많이 쓰는 표현을 따라 하다 보니 ‘와중’이란 말을 잘못 쓰는 경우가 흔하다. ‘와중’의 ‘와’는 소용돌이를 말한다. 따라서 ‘와중’은 글자 그대로 ‘소용돌이의 가운데’라는 의미다. 바다나 강의 바닥이 팬 자리에서 물이 빙빙 돌면서 원을 그리며 흐르는 현상을 소용돌이라고 한다. 소용돌이가 치는 곳은 물이 세차고 급하게 휘돌아 흐른다. 쳐다보고 있으면 무엇인가에 이끌려 빨려 들어가는 것처럼 정신이 없고 혼란스럽게 느껴진다.
-
알고 쓰는 말글 겻불과 곁불 따뜻한 햇볕이 그리워지는 계절이 성큼 다가왔다. 우리말 속담 가운데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궁하거나 다급해도 체면 깎는 짓은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양반은 물에 빠져도 개헤엄은 안 친다’는 속담과 한뜻이다. 그까짓 체면이 뭐길래, 양반은 체면에 목숨까지 거는 걸까? ‘겻불’은 곁에서 얻어 쬐는 불을 말하는 게 아니다. 말 그대로 ‘겨를 태우는 불’이다. ‘겨’는 벼, 보리, 조 따위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겨를 태운 불은 뭉근하게 타오르기 때문에 불기운이 약하다. 해서 ‘겻불’에 ‘불기운이 미미하다’란 의미도 있다.
-
알고 쓰는 말글 너무 많잖아 “가진 게 많지 않다.” 가진 게 충분치 않다는 얘기다. ‘-지 않다’는 앞말이 의미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게 ‘-지 않다’의 자연스러운 쓰임새이고 본뜻이다. 한데 요즘 ‘-지 않다’가 글말과 입말에선 달리 쓰이기도 한다. “이건 너무 많지 않아?” 많다는 뜻이다. 의문형으로 바꾸었을 뿐인데 반대 의미가 되었다. 의문형으로 끝난 ‘-지 않다’에선 부정의 뜻을 찾기 힘들다. 단순히 ‘많다’를 강조하는 역할만 한다. ‘않다’의 본래 뜻을 잃어버린 것이다. “너무 많잖아.” 이 또한 많다는 소리다. ‘많지 않아’가 줄어든 말이 ‘많잖아’다. ‘많다’의 어간에 ‘-지 않아’가 결합한 말이지만 부정의 뜻은 없다. 이는 ‘-지 않아’가 줄어든 표현인 ‘-잖아’로 굳어져 쓰이면서 새로운 뜻을 얻었기 때문이다. ‘귀찮잖아’ ‘예쁘잖아’ ‘힘들잖아’ ‘이야기했잖아’에서 보듯 ‘-잖아’로 굳어진 표현이 널리 쓰인다. 이 ‘-잖아’는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자신의 말이 맞지 않느냐고 상기시키면서 핀잔하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관용구처럼 쓰인다. 일부에선 부정의 ‘-지 않다’의 축약형과 구분해 ‘구어 종결어미 -잖아’로 부른다.
-
알고 쓰는 말글 조바심 ‘조바심’은 조의 이삭을 떨어서 좁쌀을 만드는 일이다. 이게 ‘조바심’의 본디 뜻이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조바심’의 의미와는 많이 다르다. ‘조마조마하여 마음을 졸임. 또는 그렇게 졸이는 마음.’ 그렇다. 대부분 조바심을 이런 뜻으로 알고 쓴다. 세월이 변했다. 흔하디흔했던 것들이 지금은 많이 사라져가고 있다. 가꾸는 농작물도 마찬가지다. 오곡 중 하나인 조도 이젠 이 땅에서 보기 힘들어졌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조바심의 의미도 달라졌다. 아니 조바심의 본뜻에 새로운 뜻이 추가되었다.
-
알고 쓰는 말글 똘기 ‘똘기’를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기 쉽다. 덜 익은 과실을 잘못 먹으면 누구나 그렇다. ‘똘기’는 채 익지 않은 과실을 말한다. 대개 떫은맛이 난다. 풋과일과 같은 뜻이다. 이때 ‘풋’은 ‘덜 익은’의 뜻을 더하는 말이다. ‘똘기’는 ‘또아기’와도 한뜻이다. 한데 ‘또아기’는 이제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여럿 있을 때,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 탓에 ‘똘기’에 자리를 내주었다. 과실은 다 익으면 나무에서 떨어지는 게 정상이다. 저절로 떨어질 정도로 탐스럽게 잘 익은 밤이 ‘아람’이다. 해서 밤송이가 여물어 저절로 떨어지게 된 것을 ‘아람이 벌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모든 과실이 충분히 익은 후 떨어지는 게 아니다.
-
알고 쓰는 말글 책갈피와 보람 ‘책갈피’는 책장과 책장의 사이를 말한다. 이게 책갈피의 본뜻이다. ‘갈피’는 ‘겹치거나 포갠 물건의 하나하나의 사이’를 가리킨다. 일이나 사물의 갈래가 구별되는 경계를 일컫기도 한다. 해서 사물이나 상황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고 갈팡질팡할 때 ‘갈피를 잡지 못한다’고 한다. 책을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쉽게 찾도록 책갈피에 끼워 두는 종이쪽지나 끈을 ‘갈피표’라 한다. 한자말로는 ‘서표’다. 한데 사람들이 ‘책갈피’를 ‘갈피표’란 뜻으로 더 많이 쓴다. 그래서 사전도 ‘읽은 곳을 표시하는 도구’란 뜻풀이를 추가했다. ‘책갈피’는 책의 갈피인 동시에 책갈피에 끼워 두는 도구인 셈이다.
-
알고 쓰는 말글 직진남 등극? “이준기가 고려 직진남으로 등극했다.” 배우 이준기의 복귀작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드라마 <달의 여인-보보경심 려>를 다룬 기사다. 물론 글쓴이의 관심은 드라마가 아니라 ‘직진남’에 있다. ‘직진남’은 ‘한 사람만 바라보며 뜻을 굽히지 않고 사랑을 향해 직진하는 남자’를 뜻하는 신조어다. 이 신조어가 한때의 유행어에 그칠지, 낱말로 자리 잡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개인적으론 이런 신조어에 다소 거부감을 느낀다. 아무튼 ‘직진남’은 내버려 두더라도 ‘직진남’과 짝을 이룬 ‘등극’은 살짝 눈에 거슬린다. ‘직진남’과 ‘등극’은 아무리 꿰맞추려 해도 어울리지 않는 짝이기 때문이다.
-
알고 쓰는 말글 남짓과 언저리 얼마 전 한 독자로부터 e메일 한 통을 받았다. 많은 이들이 ‘남짓’을 ‘오전 10시22분부터 11시11분까지 1시간 남짓 진행된’에서 보듯 ‘언저리’와 비슷한 뜻으로 잘못 알고 쓰는 듯하다. ‘알고 쓰는 말글’에서 ‘남짓’을 한번 다뤄보면 어떻겠냐는 내용이었다. 참 감사한 편지다. 우리말에는 ‘대략, 대강’의 의미로 사용되는 말이 많다. ‘남짓, 여’(①)와 ‘가량, 약, 언저리, 정도, 쯤’(②)이 그런 말이다. 이들은 품사의 차이는 있지만 뜻은 서로 비슷비슷하다. 하여 ‘약 10일 정도’처럼 쓰면 의미가 겹친다. ‘약 10일’이나 ‘10일 정도’로 쓰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