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환
역사 스토리텔러
이기환 문화부 선임기자는 지난 8월31일 경향신문을 정년퇴임했고, 이후 ‘역사 스토리텔러’ 직함으로 경향신문에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를 주간경향에 ‘이기환의 Hi-story’를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습니다.
최신기사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친일파’ 영국기자도 치를 떤 일제 만행…역사적인 의병사진 남겼다 유인석·이강년·허위·최익현·연기우·윤인순·허겸·노재훈…. 얼마 전 구한말 항일 운동의 전면에 나섰던 대표 의병장 및 독립투사의 체취가 물씬 풍기는 자료가 발굴되었다.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과 국가유산청이 일본에서 구입 환수한 자료는 항일 의병장 및 독립운동가가 작성한 친필 편지 등 13건 등이다. 일제 헌병 경찰이었던 아쿠타가와 나가하루(芥川長治)가 1939년 두루마리 형태로 묶어 보관한 문서들이다. ■재현된 분서갱유 이중 유중교(1832~1893·유인석의 스승)와 최익현(1843~1906)의 편지 등 4건에 붙인 아쿠다가와의 주석이 눈길을 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일본경찰 1만명 농락한 ‘전설의 독립투사’…식민지 수탈기관 초토화 시켰다 1926년 한 해가 저물기 5일 전인 12월 26일이었다. 상해(上海)를 출발해서 인천에 도착한 인물이 있었다. 34살 청년 나석주(1892~1926) 의사였다. 그의 수중엔 독일제 32구경 9연발 자동권총 1정과 실탄 70발, 그리고 주철제 폭탄 2개가 있었다. 서울에 잠입한 나석주 의사는 28일 오후 2시쯤 동양척식주식회사(이하 동척) 정문으로 들어가 ‘이 아무개’ 이름을 대며 “사람을 찾으러 왔다”고 했다. 수위가 “그런 사람이 없다”고 제지하자 나의사는 곧바로 식산은행으로 발길을 옮겼다. ■패닉에 빠진 수탈기관 때마침 연말이라 은행 창구마다 혼잡을 이루고 있었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전봉준이 ‘탐관오리’로 찍었던 민영환…그는 어떻게 자결순국의 길 택했나 “백성에게 해(害)를 끼치는 자들을 없애려고 봉기했다는건가.”(심문) “그렇다. 내직에 있는 자가 매관매직을 일삼고….”(전봉준) “누구를 가리키는가.”(심문) “민영준과 민영환, 고영근이다.”(전봉준) 동학농민전쟁의 지도자 전봉준(1855~1895)의 심문 기록(1895년 2월11일)이다. 전봉준은 ‘관리들의 탐학’을 거사의 이유로 들며 그중 민영준·민영환·고영근 등을 ‘탐관오리 3인방’으로 꼽았다. 그런데 이 3명 가운데 의외의 이름이 들어있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 직후 순국 자결한 ‘충정공 민영환(1861~1905)’이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줄서는 왕릉뷰’ 포토존…신라 쌍무덤 ‘금관 왕비, 금동관 왕’의 정체 ‘니들이 주인공을 알아?’ 얼마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가 펴낸 자료집(<황남대총 남분, 발굴조사의 기록>)을 보았다. 웬 뜬금없는 얘기냐 싶겠지만 새삼 2019년 9월에 방영된 KBS 프로그램(‘슈퍼맨이 돌아왔다’ 296회)이 떠올랐다. 축구선수 박주호씨의 자녀인 ‘건후와 나은’이 ‘왕가의 무덤’인 대릉원 대형 고분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던 관람객 사이에서 천진난만 뛰노는 장면이다. ‘건나블리(건후·나은)’가 뛰놀던 그곳은 이미 경주의 소문난 ‘포토존’이었다. 남북 표주박 형태의 대형 고분과, 목련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느라 평일에도 수십미터씩 줄을 서는…. 그 배경 속 대형고분이 ‘황남대총’이다. 그렇지만 이 황남대총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아는 이는 단언컨대 아마도 없을 듯 싶다. 그 이유를 ‘썰’로 풀어보자.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부채는 ‘관음증’ 환자의 ‘핫템’...겸재·단원·추사도 사랑한 화폭이었다 ‘하나같이 근심되는 것이 천하의 더위인데(一念長憂天下熱)….’ 조선 후기 이상적인 도시인의 삶을 그린 8폭 병풍이 있다. ‘태평성시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다. 그 중 5폭에 각종 부채를 파는 ‘부채’ 상점이 보인다. 가게의 좌우에 글자가 새겨진 길쭉한 광고판이 보인다. 오른쪽 광고판에 ‘더위가 걱정’이라는 내용의 7자가 보인다. 왼쪽 광고판에는 아쉽게도 마지막 글자인 ‘서늘할 량(凉)’만 보인다. 아마 ‘부채로 더위를 날려보내시라’는 광고 문구였을 것이다. 그보다 600년 전 인물인 이규보(1168~1241)의 시 한 수가 이 부채 상점의 광고 내용을 대신 알려줄 것 같다. “여름철에 손에 들고 흔들면 무더위 어디로 사라지는지 몰라. 응당 여러 사람에게 나눠 주어야 해. 청량한 맛을 어찌 혼자만 차지하랴.(引凉那忍獨)”(<동국이상국집>)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소동파를 ‘우주대스타’로 찬양?…고려를 원숭이로 욕한 혐한파였다 “선생의 기개와 절조는 우주를 능가하고(先生氣節凌宇宙) 선생의 문장은 별처럼 빛나기만 하여라.(先生文章煥星斗)” 조선 전기 문인·학자인 서거정(1420~1488)이 ‘선생’을 찬양하고 있다.(<사가시집> 51권 ‘시류·소선적벽도’) 서거정이 말 그대로 ‘우주대스타’로 떠받는 ‘선생’은 과연 누구인가. 북송이 낳은 대문호 소식(소동파·1037~1101)이다. 고려의 대문호인 이규보(1168~1241)는 어떤가. “소동파의 문장은 금은보화가 창고에 가득찬 부잣집 같아 도둑이 훔쳐가도 줄지 않으니 표절한들 어찌 해롭겠느냐”(<동국이상국집> 권26 ‘답전이지논문서)고 극찬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명량 발굴 ‘소소승자총통’…소총부대장 출신 이순신과는 어떤 관계? ‘40억원대 고려청자 1억원에 팔려던 잠수부 도굴단 덜미…’. 2011년 11월18일 기막힌 문화유산 도굴범 기사가 각 언론에 실렸다. 도굴범들은 해삼·어패류를 채집하던 잠수부들이었다. 이들이 불법 인양한 문화유산 30여점 가운데는 13~14세기 보물급 유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도굴범들이 덜미가 잡힌 이유가 어이없었다. 보통 바닷속에서 인양되는 유물에는 이끼류와 패각류 등이 붙어있기 마련이다. 이 경우 ‘아주 묽게 희석시킨 염산’으로 조심스럽게 닦아야 한다. ■염산을 들이 부었다 하지만 조급했던 도굴범들은 묽게 희석시키지 않은 강염산으로 유물을 마구 닦아댔다. 그러자 청자 본연의 미가 퇴색되었고, 표면에 바른 유약까지 벗겨져 나갔다. 이게 문제가 되었다. 밀거래 과정에서 가격이 뚝 떨어졌고, 도굴범과 거간꾼, 구매자 간 갈등이 빚어졌다. 덕분에 문화유산 사범단속반이 시간을 벌 수 있었고, 거래 현장을 잡을 수 있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호우총·천추총·태왕릉의 ‘#’문양의 정체…‘광개토대왕’? ‘운수대통’? ‘#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호태왕 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우十)’. 1946년 5월14일이었다. 경주 노서리 140호분(돌무지덧널무덤)을 파고 있던 국립박물관 조사단이 ‘발굴 일지’의 표현대로 ‘쎈세이순’한 명문 유물을 찾아냈다. 고급의 청동제 그릇 밑바닥에 아로새겨진 ‘광개토대왕(재위 391~412)’, 그 분의 묘호가 빛났다. 해방 후 첫번째 ’우리 손 발굴’에서 이뤄낸 개가였다. 당시 신문(동아일보 5월25일)의 보도처럼 명문 유물의 착안점은 두가지였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정도전 집에 웬 ‘말(馬) 운동 트랙’?…‘왕실마구간’ 드러난 종로구청터 “말이 다닐 때 땅이 파이지 않게 한 시설일까.” 2021년 10월이었다. 종로구청 부지에 들어설 새로운 통합청사(구청+소방서 등) 공사 현장에서 수상쩍은 흔적이 확인되었다. 조선시대 건물터 5채와 함께 원형으로 깔아놓은 잡석 사이에 트랙 형태의 통로가 조성된 유구였다. 이곳은 조선 창업의 공신인 삼봉 정도전(1342~1398)의 집터였고, 이후 사복시(궁중의 가마와 말 등을 관장하는 관청)가 들어선 곳으로 알려져 있다. ■둥근 원형트랙의 정체 그랬으니 말과 관련된 유구인 것만은 틀림없었다. 처음엔 그 정체를 알지 못했다. 그저 ‘말의 하중 때문에 지표면이 울툴불퉁해질까봐 깔아놓은 잡석’ 쯤으로 여겼다. 그러나 발굴단(수도문물연구원)이 19세기 인물인 한필교(1807~1878)의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에 열람하자 그 단서를 찾아냈다. ‘숙천제아도’는 한필교가 평생 거쳐온(숙천·宿踐) 여러 관청(제아·諸衙)를 그린 그림(화첩)이다. 그 중 한필교가 1843년 사복시 판관(종5품) 시절 그린 ‘사복시’ 그림을 본 것이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조우관’ 쓴 아프로시압 사절, “연개소문이 파견한 고구려 밀사가 맞다” “아들을 낳으면 석밀(산 벌꿀)을 입안에 넣어주고 손바닥에 아교를 발라준다. 아이가 성장하면 입은 늘 달콤한 말을 하고 돈이 아교처럼 붙기를 바라는 마음에서….”(<구당서> ‘열전·서융’) 예부터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를 중심으로 동서교역을 담당했던 소그드인들의 타고난 장사수완을 가리키는 기사이다. 중국에서는 소그드 연맹체 중 사마르칸트를 기반으로 한 왕국을 강국(康國)이라 했다. 강국의 도읍은 사마르칸트의 북동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아프로시압 도성이었다. ■사절들의 홀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백제의 미소’ 불상, 아름답지만…40억원↑ 가격은 ‘국제호갱’ 감이다 호암미술관이 6월16일까지 열고 있는 전시회가 있다. ‘진흙에 물들지 않은 연꽃처럼’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다. 한·중·일 3국의 불교미술에 담긴 여성들의 번뇌와 염원, 공헌 등을 세계 최초로 조망하는 전시회란다. 전시회에는 한국·미국·유럽·일본 등에 소장된 92건의 작품이 출품되었다. ■홀연히 나타난 백제의 미소? 그중 유독 눈에 띄는 작품이 한 점 있다. 부여 규암리 출토 백제 금동관음보살 입상(이하 백제 보살상)이다.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에 ‘백제 시대 걸작’으로 회자되다가 어느 순간 행방이 묘연해졌던 불상이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금동대향로, 구멍 대충 뚫었다…아차 실수? 국보의 흠결 ‘백제판 천존고(天尊庫)?’ 최근 국립부여박물관이 백제 국보관 설립을 위한 착공식을 열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좀 객쩍은 비유이겠지만 신라 신문왕(681~692)이 만파식적(피리)과 거문고를 보관했다는 ‘보물창고’를 떠올렸다. <삼국유사> ‘기이·만파식적’조는 “만파식적(萬波息笛)을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고 가뭄에 비가 내리고, 비가 오다가 개이고, 바람이 멎고 파도가 잔잔해졌다”면서 “이것을 월성(도성)의 천존고에 보관했다”고 전했다. ‘신라 천존고와, 이제 세우겠다는 백제 국보관이 무슨 상관이냐, 웬 무리수냐’고 하는 분들이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