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도현
경향신문 기자
최신기사
-
진화한 ‘AI 폰’의 등장···베일 벗은 갤럭시 S25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능을 대폭 강화한 ‘갤럭시 S25 시리즈’를 공개했다. 지난해 최초의 AI 스마트폰 ‘S24 시리즈’를 공개한 지 1년 만이다. 갤럭시 AI는 개인의 일상에 깊이 스며들며 진화했지만 새 시리즈 전 제품의 국내 가격은 동결됐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스마트폰 업계의 ‘AI폰 경쟁’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2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신제품 발표행사 ‘갤럭시 언팩 2025’를 열고 갤럭시 S25 시리즈를 공개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갤럭시 S25 시리즈는 모바일 AI에 최적화된 플랫폼 ‘원(One) UI 7’을 통해 사용자의 일상 자체를 혁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
오픈AI·소프트뱅크·오러클 합작…미국 AI 인프라에 718조원 투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소프트웨어 기업 오러클이 합작회사를 설립해 미국 인공지능(AI) 인프라에 최대 5000억달러(약 718조원)를 투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이들 3개 기업이 ‘스타게이트’라는 합작사를 설립하고, AI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최대 5000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현장에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 래리 엘리슨 오러클 이사회 의장이 참석했다.
-
인스타 ‘10대 계정’ 보호 국내 도입…부모가 시간·대화 상대 확인 가능 인스타그램이 22일부터 국내에서도 청소년 보호 기능이 자동 적용되는 ‘10대 계정(청소년 계정)’을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이날 인스타그램 관계자는 “오늘부터 국내 청소년 이용자들에게 순차적으로 10대 계정 설정이 적용된다”며 “상반기 중으로 모든 청소년 이용자들에게 적용을 완료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10대 계정은 지난해 9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에서 먼저 도입됐다. 유럽연합(EU) 지역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적용 중이다. 한국을 포함한 나머지 지역은 이날부터 도입하기 시작해 상반기 내 완료할 예정이다.
-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 뭉쳤다···미국 AI 인프라에 700조원 투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합작회사를 설립해 미국 인공지능(AI) 인프라에 최대 5000억달러(약 718조원)를 투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이들 3개 기업이 ‘스타게이트’라는 합작사를 설립하고 AI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최대 5000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현장에는 손정의(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 래리 엘리슨 오라클 이사회 의장이 참석했다.
-
부모가 대화상대 확인···인스타 ‘10대 계정’ 오늘부터 국내 순차 적용 인스타그램이 22일부터 국내에서도 청소년 보호 기능이 자동 적용되는 ‘10대 계정(청소년 계정)’을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이날 인스타그램 관계자는 “오늘부터 국내 청소년 이용자들에게 순차적으로 10대 계정 설정이 적용된다”며 “상반기 중으로 모든 청소년 이용자들에게 적용을 완료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10대 계정은 지난해 9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에서 먼저 도입됐다. 유럽연합(EU) 지역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적용 중이다. 한국을 포함한 나머지 지역은 이날부터 도입하기 시작해 상반기 내 완료할 예정이다.
-
티맵 “귀성길, 설연휴 전날인 24일부터 밀려요” 이번 설 귀성길은 연휴 전날인 24일 오후 5시쯤, 귀경길은 설 당일인 29일 교통 정체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티맵모빌리티와 SK텔레콤은 과거 티맵 명절 기간 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울에서 광주, 부산, 대전, 강릉 등 주요 지역의 일별·시간대별 이동 소요시간 예측치를 22일 발표했다. 귀성길 교통이 가장 혼잡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설 연휴 전날인 24일 오후다. 당일 오후 5시쯤 서울-부산 구간은 최대 6시간51분, 서울-광주 구간은 5시간 18분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대전 구간도 오후 2시부터 혼잡이 시작돼 최대 4시간37분이 걸릴 수 있다.
-
장관 후보보다 앞…취임식 ‘상석’ 앉은 빅테크 거물들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워싱턴 연방의회 의사당 중앙홀인 로툰다에는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구글, 애플,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 거물들이 총출동했다. 기술산업과 연방정부의 협력 가능성 및 관계 재정립을 보여준 장면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머스크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이날 600석이 마련된 로툰다에서 트럼프 대통령 바로 뒤에 자리한 트럼프 일가 뒷줄에 나란히 앉았다. 베이조스는 약혼자 로런 산체스, 저커버그는 아내 프리실라 챈과 함께 참석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등보다 앞자리였다. 같은 공간에는 팀 쿡 애플 CEO, 세르게이 브린 구글 창업자, 추 쇼우지 틱톡 CEO도 있었다.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의사당 내 다른 홀에서 대형 화면으로 취임식을 봤다.
-
“패널조사 한계 극복” 아이지에이웍스-KT, TV광고 효과 분석 솔루션 출시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는 국내 최대 유료방송 사업자 KT와 협력해 TV 광고 효과 분석 솔루션 ‘TV 애드 인덱스’를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TV 애드 인덱스는 아이지에이웍스의 4300만 모바일 이용자 데이터와 KT의 인터넷TV(IPTV) 서비스 ‘지니 TV’의 950만 셋톱박스 데이터를 활용해 TV 광고 성과를 정밀하게 분석한다. 회사는 “기존 시청률 조사 방식인 4000가구 패널 조사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며 실제 광고 노출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시청자 성별·연령을 넘어 소비 행동, 구매 성향, 브랜드와의 실제 연관성까지 분석한다. 광고를 본 시청자가 실제로 상품을 구매했는지, 관심 있는 카테고리에서 활동 중인지, 고가 상품 소비를 주도하는 핵심 고객층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
계엄 이후 억대 수익 올린 유튜버들…‘슈퍼챗’도 세금 내야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일부 정치 유튜버의 소득이 급증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세금 납부를 둘러싼 관심도 커지고 있다. 21일 국세청 세무 안내에 따르면 유튜브 등 플랫폼 운영사로부터 배분받는 광고수익뿐만 아니라 슈퍼챗 같은 후원금도 모두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다. 플랫폼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1인 미디어 창작자는 반복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다면 사업자 등록을 해야한다. 1인 미디어 창작자가 인적 고용 관계 또는 별도의 사업장 등 물적 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콘텐츠 영상을 플랫폼에 공급하면서 수익을 낸다면 과세 사업자로 분류된다. 해당한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 작성자나 영상 편집자를 고용한 경우, 별도 방송용 스튜디오를 갖춘 경우 과세 사업자에 해당한다. 근로자를 고용하지 않고 물적 시설 없이 콘텐츠를 만들면 면세사업자다.
-
트럼프 취임식 참석 빅테크 거물들, 장관 후보들보다 앞자리 차지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워싱턴DC 연방 의사당 중앙홀인 로툰다에는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구글, 애플,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 거물들이 총출동했다. 기술 산업과 연방정부의 협력 가능성 및 관계 재정립을 보여준 장면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머스크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이날 600석이 마련된 로툰다에서 트럼프 대통령 바로 뒤에 자리한 트럼프 일가 뒷줄에 나란히 앉았다. 베이조스는 약혼자 로렌 산체스, 저커버그는 아내 프리실라 챈과 함께 참석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등보다 앞자리였다. 같은 공간에는 팀 쿡 애플 CEO, 세르게이 브린 구글 창업자, 추 쇼우지 틱톡 CEO도 있었다.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의사당 내 다른 홀에서 대형 화면으로 취임식을 봤다.
-
미국서 틱톡 잠시 중단된 날···영상 편집앱 발표한 인스타그램 미국 내 틱톡 서비스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쟁 플랫폼 인스타그램이 새로운 동영상 편집 애플리케이션(앱)을 발표했다. 틱톡의 빈틈을 노린 전략으로 보인다. 애덤 모세리 인스타그램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간) 자사 앱을 통해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데 열정적인 여러분을 위해 새로운 앱 ‘에디트(Edits)’를 소개한다”고 밝혔다. 모세리 CEO는 “지금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지만, 무슨 일이 있든 창작자들에게 최고의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 임무”라고 말했다. 이날 미국에선 ‘틱톡 금지법’이 발효됐다. 틱톡은 자체적으로 미국 서비스를 중단했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법 시행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리겠다고 밝히면서 서비스를 복구했다.
-
틱톡, 미국 내 서비스 중단···트럼프 “틱톡 금지 90일 유예 가닥” 1억7000만명의 미국 이용자를 보유한 짧은 동영상(쇼트폼) 공유 플랫폼 ‘틱톡’이 ‘틱톡 금지법’ 발효로 인해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법 시행을 “90일 연장할 가능성이 크다”며 서비스 재개에 힘을 실었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는 틱톡 미국 법인과 자사의 합병을 제안하고 나섰다. 18일(현지시간) 밤 구글과 애플이 운영하는 미국 애플리케이션(앱)장터에서 틱톡이 삭제됐다. 틱톡도 예고한 대로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했다. 틱톡은 앱을 연 미국 이용자들에게 “미국에서 틱톡을 금지하는 법이 제정돼 안타깝게도 지금은 틱톡을 사용할 수 없다”고 안내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틱톡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우리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기로 밝혀 다행이다. 계속 지켜봐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