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기은
경향신문 기자
최신기사
-
가자지구에서도, 교황의 고향에서도···전 세계 추모의 순간 21일(현지시간) 전 세계 로마 가톨릭교회 수장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 소식에 전 세계에서 애도 물결이 일었다. 서거 소식이 전해진 이날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은 교황을 추모하러 온 인파로 가득 찼다. 오후 7시30분(한국시간 22일 오전 2시30분)에는 첫 공개 추모 행사인 묵주 기도회가 열렸다. 일부 신자의 눈에는 눈물이 맺혀있었다. 촛불이나 묵주를 가져와 기도하는 신자도 있었다.
-
캐나다 총선, 여야 후보 모두 “트럼프 막겠다” 반미 여론 최고조…여당인 자유당 지지율, 5%P 차 1위야당 보수당과 ‘대미 강경 대응·감세’ 등 동일한 공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전쟁의 첫 타깃이었던 캐나다가 오는 28일(현지시간) 조기 총선을 치르고 무역, 경제, 안보 등 의제에 대응할 차기 총리를 선출한다. 캐나다 언론이 이번 선거를 ‘트럼프가 장악한 총선’이라고 부를 정도로 미·캐나다 관계가 총선 승패를 가를 쟁점으로 부상했다. 여론조사에선 마크 카니 총리가 이끄는 집권 자유당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
‘바티칸 2인자’ 파롤린 국무원장, 차기로 거론…타글레 추기경 선출 땐 ‘아시아 출신’ 첫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하면서 교황청은 약 2주 후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열고 차기 교황을 선출한다. ‘바티칸의 2인자’ 국무원장은 매번 차기 교황 후보로 거론된다. 이탈리아 출신 피에트로 파롤린 현 국무원장(70·왼쪽 사진) 역시 유력 교황 후보다. 그는 2015년 미국과 쿠바의 관계 개선, 2018년 중국이 교황을 가톨릭 최고 지도자로 인정한 바티칸·중국 협정을 끌어낸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온건파로 분류되는 파롤린 국무원장은 교황에 선출되면 가톨릭교회 내 개혁을 추진했던 프란치스코 교황의 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매체 스펙테이터는 “파롤린 추기경은 11년간 이어진 프란치스코 교황의 주기적인 잔혹한 개각 속에서도 살아남았다”고 평가했다.
-
소외된 자들 돌본 청빈한 삶…개혁 지향 ‘행동하는 성직자’였던 프란치스코 교황 첫 미주 지역·예수회 출신1300년 만의 비유럽 교황 화려한 의상·차·주거 거부성범죄 성직자 해임안 서명바티칸 은행 ‘검은돈’ 개혁성소수자에도 전향적 태도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본명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은 2013년 3월 보수파와 개혁파 추기경들의 지지를 두루 얻어 제266대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선출됐다. 미주 지역 출신의 첫 교황이자 첫 예수회 출신 교황, 서기 8세기 이후 1300년 만에 비유럽 지역에서 배출된 교황이었다. 허례허식 없이 검소했고 낮은 곳에서 빈민들,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살아 청빈한 사제, 행동하는 성직자로 불렸다.
-
차기 교황에 이탈리아·필리핀·헝가리 출신 추기경 거론···다시 시작된 보수 vs 진보 경쟁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하면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거쳐 선출될 차기 교황 유력 후보가 거론되고 있다. 차기 교황은 가톨릭 전파와 인류의 평화를 위해 덕망을 쌓으며 동료들로부터 높은 지지를 얻는 추기경이 선출된다. ‘바티칸의 2인자’ 국무원장은 매번 차기 교황 후보로 거론돼왔다. 이탈리아 출신 피에트로 파롤린 현 국무원장(70) 역시 유력 교황 후보다. 30년간 교황청 외교부에서 일한 그는 2015년 미국과 쿠바의 관계 개선, 2018년 중국이 교황을 가톨릭 최고 지도자로 인정한 바티칸·중국 협정을 끌어낸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온건파로 분류되는 파롤린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매체 스펙테이터는 “파롤린 추기경은 11년간 이어진 프란치스코 교황의 주기적인 잔혹한 개각 속에서도 살아남았다”고 평가했다.
-
추기경단, 바티칸 ‘비밀의 방’ 콘클라베에서 차기 교황 선출 예정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하면서 로마 가톨릭교회는 애도 기간을 거쳐 차기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시작하게 된다. 콘클라베는 127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0세 때 도입된 세계 최고(最古)의 수장 선출 방식으로, 세월을 거치면서 조금씩 수정됐으나 추기경단이 비공개로 교황을 선출한다는 원칙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
캐나다 총선 D-7, 트럼프 폭주에 맞설 차기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전쟁의 첫 타깃이었던 캐나다가 오는 28일(현지시간) 조기 총선을 치르고 무역, 경제, 안보 등 의제에 대응할 차기 총리를 선출한다. 캐나다 언론이 이번 선거를 ‘트럼프가 장악한 총선’이라고 부를 정도로 미·캐나다 관계가 총선 승패를 가를 쟁점으로 부상했다. 여론조사에선 마크 카니 총리(60)가 이끄는 집권 자유당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
속보 ‘빈자의 성인’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생애 마감 직전까지 가자·우크라 평화 촉구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본명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은 2013년 3월 보수파와 개혁파 추기경들의 지지를 두루 얻어 제266대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선출됐다. 미주 지역 출신의 첫 교황이자 첫 예수회 출신 교황, 서기 8세기 이후 1300년 만에 비유럽 지역에서 배출된 교황이었다. 허례허식 없이 검소했고 낮은 곳에서 빈민들,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살아 청빈한 사제, 행동하는 성직자로 불렸다.
-
자유무역으로 물가 상승률 낮아졌는데···갈림길 선 ‘아르헨 트럼프’ 밀레이 ‘아르헨티나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 불리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갈림길에 서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밀레이 대통령의 무역 시장 개방 정책으로 아르헨티나의 인플레이션(물가오름세)이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그가 보호무역 기조로 돌아서면 아르헨티나의 경제가 다시 주저앉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이시바 “미군 주둔 경비 적절히 분담 중”···일 언론 관세협상 조기 타결 험로 예상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관세협상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만을 제기한 주일미군 주둔 경비와 관련해 “일본과 미국 정부 합의에 따라 적절히 분담되고 있다”고 밝혔다. 18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참의원(상원) 본회의에서 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시바 총리는 “우리나라(일본)의 방위비(방위 예산)는 우리나라가 주체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
개발로 터전 잃은 카피바라 떼, 아르헨 부촌 습격···‘불임 주사’까지 등장 설치류 동물인 카피바라가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북쪽 지역에 대거 출몰하면서 정부가 개체 수 조절에 나섰다.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간) 부에노스아이레스 안에서 부자 동네로 꼽히는 노르델타에서 카피바라 개체 수 조절을 위한 불임 백신 접종 시범 활동이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현지에서 ‘카르핀초’라고도 부르는 카피바라는 남미에서 주로 서식하는 설치류 동물이다. 성체 몸길이는 1m가 넘고, 몸무게는 60㎏ 넘게까지 나간다. 몸집은 크지만, 온순하고 친화력이 좋은 동물로 알려져 있다.
-
이탈리아 나폴리 인근서 케이블카 추락…최소 4명 숨져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인근에서 케이블카 추락 사고가 발생해 최소 4명이 숨졌다. 17일(현지시간) 안사통신 등 이탈리아 언론에 따르면 이날 나폴리 인근의 카스텔람마레디스타비아 파이토산에서 1100m 높이의 케이블카가 운행 도중 추락했다. 이 사고로 케이블카 탑승자 4명이 숨지고 1명이 크게 다친 것으로 파악됐다. 부상자는 헬리콥터를 타고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