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
최신기사
-
공감 나만큼 복 많은 노인네 있으면 나와보라고 해 송해씨는 96세까지 전국을 돌아다니며 <전국노래자랑>을 진행했다. 세계 최고령 TV 음악 경연 프로그램 진행자로 기네스북에도 등재됐다. 대한민국 최고령 철학자인 김형석 교수는 105세인 지금까지도 집필과 강연을 계속하고 있다. 이 두 분은 고령에도 활기차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낸 대표적인 인물이다. 우리 주변에도 새로운 배움에 도전하며 삶의 만족을 찾는 어르신들이 있다. 지난해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한 88세 최고령 만학도 김갑녀 할머니는 목욕탕에서 일하며 홀로 다섯 딸을 키워냈고 80세에 한글학교에 다니며 한글을 깨쳤다. 글을 배운 후 어머니께 쓴 편지에서 김 할머니는 “고생 끝에 복이 온다 하더니 정말 그런 날이 왔네요”라고 적으며 삶에 대한 만족을 표현했다.
-
공감 내 나이는 내가 정한다 요즘 저속노화 식단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MZ세대들의 관심을 보며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느리게 나이 들고 싶어 하는 마음은 같다는 것을 느낀다. 얼마 전 한 신문기사에서 69세 백발의 여성 서퍼가 멋지게 파도 타는 모습을 보았다. 그는 “서핑을 통해 인생의 파도를 타는 법도 배웠다”며, 늦은 나이에도 열정적으로 도전에 나섰다. ‘이제 와서 뭘 할 수 있을까?’라는 두려움을 깨고 새로운 도전에 나선 그처럼, 노화를 늦추는 비결은 바로 마음가짐에 있다. 1979년 어느 날, 미국의 한 시골집에서 70~80대 노인 8명은 재미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20년 전으로 돌아간 것처럼 집 안 곳곳이 1959년의 모습이었다. 흑백텔레비전에서는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이 발사되는 장면이 나왔고, 라디오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노래가 나왔다. 그들은 마치 20년 전에 사는 것처럼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며 이곳에서 일주일을 지내야 했다. 평소 불편한 거동 때문에 하지 못하던 요리, 설거지, 청소 등도 가족이나 간병인 도움 없이 스스로 하며 지냈다. 이들에게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
공감 노스탤지어, 고향과 추억이 주는 따뜻한 위로 설 명절이 다가오면 많은 이들이 고향을 찾고, 그렇지 않더라도 마음 한편에 고향을 떠올리곤 합니다. 고향이란 단어만으로도 우리의 마음 한구석이 따뜻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고향은 단순히 우리가 태어나고 자란 장소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고향은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위로하며 미래를 준비하게 하는 감정적 자원으로 작용합니다. 아사다 지로의 소설 <나의 마지막 엄마>는 신용카드회사에서 극소수 VIP 고객들에게 특별히 제공하는 가상의 고향 방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바쁜 삶 속에서 잠시나마 고향의 따스함에 안겨 위로받는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고향이 가진 치유적 힘을 느끼고 가슴 찡한 감동을 느끼게 됩니다. 실제로 전라남도는 ‘고향애(愛) 여행가자’란 프로그램을 통해 출향 도민과 재외동포들이 고향의 정취를 만끽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단순히 지역 경제 활성화를 넘어, 개인의 정체성 회복과 정신적 안정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