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 위험 해결' 전고체 전지 시대 성큼…"은·리튬 결합해 개발"읽음

이정호 기자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최신호.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최신호.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폭발 위험성이 낮은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진은 안정적인 특성을 가진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용 음극 제조 기술’을 연구한 결과가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최신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고 17일 밝혔다.

전고체 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인 ‘전해질’을 기존 전지처럼 액체가 아니라 화재나 폭발 위험이 낮은 고체로 바꾼 것이다. 이런 전고체 전지의 핵심 부품인 음극의 소재는 ‘리튬 금속’을 쓴다. 문제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면 리튬 금속 표면에 나뭇가지 모양으로 리튬이 돋아난다는 점이다. 이를 과학계에선 ‘수지상 성장’이라고 부른다. 이 현상은 내부 단락을 일으켜 전고체 전지의 수명을 줄이고, 성능을 떨어뜨린다. 과학계에선 수지상 성장이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를 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본다.

연구진은 음극을 이루는 리튬에 ‘은’을 섞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두 개의 금속을 얇은 막 형태로 뽑아내 서로 붙였다. 리튬과 은을 결합하면 물리적인 보호막이 형성되면서 수지상 성장을 억제한다.

이 기술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는 140번 충전과 방전을 거듭해도 에너지 저장 성능을 실제 사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실사용이 가능한 수준이란 대개 출고 이후 50~80% 에너지 저장 성능이 남아있는 상태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는 보통 300회 이상 충방전을 해도 비슷한 에너지 저장 성능을 보인다. 전고체 전지는 아직 개발이 더 필요한 단계이지만, 연구진은 이번 기술로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만들었다. 연구진에 속한 김병곤 선임연구원은 “앞으로 은의 양을 적게 쓰고도 적절한 성능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은을 대체할 값이 싼 물질을 탐색하는 등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한 컷에 담긴 화산 분출과 오로라 바이든 자금모금행사에 등장한 오바마 미국 묻지마 칼부림 희생자 추모 행사 황사로 뿌옇게 변한 네이멍구 거리
이강인·손흥민 합작골로 태국 3-0 완승 젖소 복장으로 시위하는 동물보호단체 회원
모스크바 테러 희생자 애도하는 시민들 독일 고속도로에서 전복된 버스
코코넛 따는 원숭이 노동 착취 반대 시위 불덩이 터지는 가자지구 라파 크로아티아에 전시된 초대형 부활절 달걀 아르헨티나 성모 기리는 종교 행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