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아의 날씨와 얼굴] 산불이 지나간 뒤에 무엇을 꿈꿀까](http://img.khan.co.kr/news/c/300x200/2022/03/28/l_2022032801003429000307632.jpg)
200시간 넘게 불타는 산을 보며 김소연의 시 ‘실패의 장소’를 생각했다. 그 시의 마지막 문단은 이렇게 끝난다. “같은 악몽을 사이좋게 꾸던/ 같은 꿈을 사이좋게 버리던.” 불이 번지는 며칠 사이 여럿이서 비슷한 악몽을 꾸는 것 같았다. 비슷한 희망이 버려지는 것 같았다. 이런 사건이 일어나는 동안 우리들의 사이는 좋을 수 있을까? 기후위기 시대의 산이라는 실패한 장소에서 우리가 재정비해야 할 관계가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이번 산불은 경북 울진에서 발생했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산불 중 역대 최장기 산불이자 최대 규모 산불이라고 한다. 지구 곳곳을 휩쓴 거대한 산불의 징후가 한국에도 가까이 다가온 것이다. 한국 산불의 경우 아직까지는 자연 발화가 드물다. 지난 21일 소방청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야외 소각 행위로 인간이 만드는 불씨가 절반 가까운 원인에 해당한다. 논과 밭두렁을 태우거나 쓰레기를 태우다가 불길이 번지는 것이다. 하지만 초대형 산불의 책임을 발화 제...
2022.03.28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