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장벽의 도시①] 최악의 지하철 환승역?…교통약자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한 이유](https://img.khan.co.kr/news/c/300x200/2022/10/05/news-p.v1.20221005.3c3e64f50f4b450291da2d09e93256c9_P1.jpg)
“한국의 교통약자는 전체 인구의 30%에 달합니다.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비장애인 중심으로 설계된 교통수단을 누구나 이용하는 대중교통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휠체어 장애인이 지하철을 갈아타려면 비장애인보다 얼마나 더 이동해야할까. 대부분 지나쳤을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 서울 지하철 환승역을 대상으로 환승 거리를 분석한 논문이 나왔다. ‘교통약자 측면의 도시철도 환승역 환승보행 서비스수준 평가방법 연구’ 논문을 쓴 주인공은 13년차 건설사 직원 정예원씨(39). 지난달 7일 서울 종로구 카페에서 만난 정씨는 “교통약자들이 불편을 겪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선 공간의 설계 기준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정씨가 교통약자의 환승을 주제로 석사 학위 논문(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을 쓰게 된 것은 그의 업무로부터 비롯됐다. “민간투자 사업 입찰의 설계 제안서를 쓰는 일을 하면서 설계지침이나 관련법령을 유심히 보게 됐어...
2022.10.05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