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가지 변이 유전체 지닌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과학계 긴장읽음

박은하 기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만든 코로나19 바이러스 3D 이미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만든 코로나19 바이러스 3D 이미지

수십가지 이상의 변이가 가능한 새로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돼 과학자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가디언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B.1.1.529’(누 변이)로 불리는 이 변종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2가지 변이 유전체를 지니고 있다. 바이러스는 표면의 돌기 모양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사람의 세포 속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면 전파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변이가 이뤄지면 백신 접종 등으로 형성한 기존의 면역 시스템이 병원균에 저항하는 일도 어려워진다.

이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보츠와나, 남아공, 홍콩 3개 지역에서 총 10건 발견됐다. 보츠와나에서 지난달 11일 처음 확인됐으며 이후 보츠와나에서만 2건 더 발견됐다. 보츠와나와 인접한 남아공에서 추가로 6건 발견됐다. 남아공을 20일 간 방문하고 돌아온 36세 홍콩 남성이 귀국 이틀 만에 확진판정을 받으며 1건이 추가로 보고됐다. 바이러스의 대륙 간 전파가 이미 이뤄진 것이다. 남아공 정부는 새 변이 바이러스를 확인했으며 전염력이 높을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남아공에서는 수도권 하우텡주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다.

누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은 아직 미지수이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바이러스 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 B.1.1.529 변이종의 바이러스 정보를 유전체 정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스파이크 돌연변이가 크게 우려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변이 수가 너무 많으면 바이러스가 불안정해지고, 이에 따라 확산하기 전에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 피콕 박사는 트위터에 “매우 면밀하게 모니터링해야 하지만 이 바이러스는 전파 불가능한 괴이한 단백질 덩어리에 지나지 않게 될 수도 있다”며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프랑수아 발루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유전학 연구소 교수는 ‘한 차례의 폭발적 변이’가 일어나면서 이 특이한 바이러스가 형성됐으며, 폭발적 변이는 에이즈 감염자 등 면역력이 약한 만성질환자의 몸에서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전염력을 예측하기 어렵다. 면밀히 지켜봐야 하며, 가까운 장래에 폭발적으로 감염이 늘지 않는다면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젖소 복장으로 시위하는 동물보호단체 회원 독일 고속도로에서 전복된 버스 아르헨티나 성모 기리는 종교 행렬 크로아티아에 전시된 초대형 부활절 달걀
훈련 지시하는 황선홍 임시 감독 불덩이 터지는 가자지구 라파
라마단 성월에 죽 나눠주는 봉사자들 코코넛 따는 원숭이 노동 착취 반대 시위
선박 충돌로 무너진 미국 볼티모어 다리 이스라엘 인질 석방 촉구하는 사람들 이강인·손흥민 합작골로 태국 3-0 완승 모스크바 테러 희생자 애도하는 시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