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희진
경향신문 기자
스포츠 관련 기사를 씁니다
최신기사
-
코픽스 두 달째 하락…신규 취급액 3.66%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지표가 되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COFIX)가 두 달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전달보다 0.18%포인트 내린 3.66%로 집계됐다고 15일 공시했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는 지난해 8월(3.66%)부터 11월(4.00%)까지 줄곧 오르다가 12월부터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오르거나 내릴 때 코픽스도 상승하거나 하락한다. 지난달 코픽스가 내린 것은 정기예금 금리가 연 4% 아래로 하락하는 등 조달금리가 하향 안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픽스 하락분은 은행 대출금리에 반영된다. KB국민은행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기준)를 이날 연 4.30∼5.70%에서 16일 4.12∼5.52%로 조정하기로 했다. 우리은행도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연 4.78∼5.98%에서 4.60∼5.80%로 낮췄다.
-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 내달 사임 토스뱅크 출범과 흑자 전환 등을 이끈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가 다음달 대표직에서 물러난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홍 대표는 다음달 28일 3년의 임기가 끝나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홍 대표는 이날 직원들에게 “새로운 전기를 맞은 은행에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 대표는 2021년 1월 토스뱅크 준비법인 대표로 선임된 이후 인터넷전문은행 본인가와 출범, 성장을 진두지휘했다. 2021년 10월 출범한 토스뱅크는 2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고객 수는 900만명대, 자산 규모는 약 25조원대로 성장했다.
-
1월 코픽스, 0.18%P 내린 3.66%···두달째 내림세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지표가 되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COFIX)가 두 달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전달보다 0.18%포인트 내린 3.66%로 집계됐다고 15일 공시했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는 지난해 8월(3.66%)부터 11월(4.00%)까지 줄곧 오르다가 12월부터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오르거나 내릴 때 코픽스도 상승하거나 하락한다. 지난달 코픽스가 내린 것은 정기예금 금리가 연 4% 아래로 하락하는 등 조달금리가 하향 안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떴다 떴다 비행기…잡아라, 환전 고객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 전환 이후 해외여행객이 폭증하자 이들의 외환 수요를 흡수하려는 금융권의 경쟁이 뜨겁다. 환전 수수료와 현지 입출금기(ATM)의 출금 수수료를 받지 않는 것은 기본이고, 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 등 추가 혜택도 선보이고 있다. 신한은행은 14일 ‘현금 없이 떠나는 스마트한 해외여행’ 흐름에 발맞춰 해외여행과 관련한 혜택을 담은 ‘SOL(쏠) 트래블 체크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카드는 30종 통화에 대해 환전 수수료 면제, 해외 결제 및 ATM 인출 시에 수수료 면제 등 해외여행객을 겨냥한 혜택을 탑재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등 온라인에서 원화를 외화로 바꿔 계좌에 보관한 뒤 해외에서 수수료 없이 카드 결제하는 방식이라, 현금을 찾기 위해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
-
은행 격전지 된 외환 서비스···수수료 없애고 편의성 높이고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 전환 이후 해외여행객이 폭증하자 이들의 외환 수요를 흡수하려는 금융권의 경쟁이 뜨겁다. 환전 수수료와 현지 입출금기(ATM)의 출금 수수료를 받지 않는 것은 기본이고, 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 등 추가 혜택도 선보이고 있다. 신한은행은 14일 ‘현금 없이 떠나는 스마트한 해외여행’이라는 흐름에 발맞춰 해외여행과 관련한 혜택을 담은 ‘SOL(쏠) 트래블 체크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카드는 30종 통화에 대해 환전 수수료 면제, 해외 결제 및 ATM 인출 시에 수수료 면제 등 해외여행객을 겨냥한 혜택을 탑재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등 온라인에서 원화를 외화로 바꿔 계좌에 보관한 뒤 해외에서 수수료 없이 카드 결제하는 방식이라, 현금을 찾기 위해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
-
홍콩H지수 ELS 손실 5000억 넘어···금감원, 2차 현장검사 시작 5대 시중은행이 3년 전 판매한 홍콩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의 만기 손실 규모가 약 한 달 사이 5000억원을 넘었다. 금융당국은 해당 상품을 판매한 금융회사의 불완전판매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2차 현장검사에 돌입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이 판매한 홍콩H지수 ELS 상품 중 지난 7일까지 만기가 돌아온 원금은 약 9733억원이다. 여기서 5221억원(53.6%)의 손실이 발생해 고객에게 상환된 돈은 4512억원에 그쳤다. 특히 홍콩H지수가 5000 아래로 떨어졌던 지난달 하순 만기가 된 상품은 손실률이 최대 58.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금리’ 길어지는데…다중채무자 수 ‘역대 최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가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도출한 것이다. 450만명은 지난해 2분기보다 2만명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다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 차주(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7%로, 이 역시 사상 최대다. 다만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568조1000억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2625만원)은 전 분기보다 각각 4조3000억원, 160만원 줄었다.
-
‘밸류업 프로그램’ 호재는 맞지만…은행주 투자, 변수 여전 은행주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수혜주로 지목돼 급등하면서 은행주를 보유하지 않았거나 비중이 작은 개미 투자자들은 추격 매수를 해야 할 것인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주로 구성된 KRX 은행지수는 지난달 19일 648.06에서 이달 8일 791.79로 올랐다. 14거래일 만에 22.3% 상승한 셈이다. 개별 종목을 보면 금융 대장주인 KB금융은 같은 기간 4만9500원에서 6만7600원으로 36.6% 뛰었다. 하나금융지주는 4만1200원에서 5만6600원으로 37.4% 급등했다. 은행주의 이 같은 상승세는 정부가 주가가 저평가된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이 발단이 됐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은행주는 대표적인 저평가 주식으로 꼽힌다.
-
‘밸류업’ 기대감에 급등한 은행주, 지금 투자할까 말까 은행주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수혜주로 지목돼 급등하자, 은행주가 없거나 비중이 작은 개미 투자자들은 은행주를 추격 매수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 증권가에선 은행주가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고 진단하면서도, 향후 경기나 당국의 규제 리스크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은행주의 밸류에이션(평가 가치)이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주로 구성된 KRX 은행 지수는 지난달 19일 648.06에서 이달 8일 791.79로 올랐다. 14거래일 만에 22.3% 상승한 셈이다. 개별 종목을 보면 금융 대장주인 KB금융은 같은 기간 4만9500원에서 6만7600원으로 36.6% 뛰었다. 하나금융지주는 4만1200원에서 5만6600원으로 37.4% 급등했다.
-
지난해 주요기업 배당 9.3% 늘어···현대차 증가 규모 1위 저평가된 한국 증시를 부양하는 방안의 하나로 주주환원 강화가 거론되는 상황에서 지난해 국내 주요 기업이 배당 규모를 전년보다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지난 8일까지 현금·현물 배당을 발표한 76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배당금 총액은 전년 대비 9.3% 불어난 28조448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5개 기업은 전년보다 배당액이 늘었고 19개 기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개 기업은 배당 규모가 같았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전체 배당 규모를 끌어올렸다. 현대차는 결산 배당과 반기·3분기 배당을 합산해 전년 대비 63.8%(1조1683억원) 증가한 2조9986억원을 배당하기로 하면서, 배당 증가액 1위를 차지했다.
-
고금리 장기화에도 다중채무자 ‘역대 최다’ 450만명 고금리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가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도출한 것이다. 450만명은 지난해 2분기보다 2만명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다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 차주(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7%로, 이 역시 사상 최대다.
-
‘소중한 OOO 절대 지켜’···생활 속 파고드는 별의별 보험상품들 금융소비자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소소한 필요를 채워주는 보험상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보험사들은 보장의 대상을 세분화해, ‘딱 이것만 보장받고 싶다’는 욕구를 지닌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보장의 범위가 넓지 않기 때문에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게 장점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휴대폰 보험’은 지난해 12월 출시 후 한 달 만에 하루 가입자가 3배 뛰었다. 스마트폰 가격대가 200만원을 넘어가면서, 고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고장·파손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해 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사고 시에도 큰돈 들이지 않고 스마트폰을 지키길 원하는 소비자들을 보험사가 공략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