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희진
국제부장
스포츠 관련 기사를 씁니다
최신기사
-
지난해 주요기업 배당 9.3% 늘어···현대차 증가 규모 1위 저평가된 한국 증시를 부양하는 방안의 하나로 주주환원 강화가 거론되는 상황에서 지난해 국내 주요 기업이 배당 규모를 전년보다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지난 8일까지 현금·현물 배당을 발표한 76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배당금 총액은 전년 대비 9.3% 불어난 28조4486억원으로 집계됐다.
-
고금리 장기화에도 다중채무자 ‘역대 최다’ 450만명 고금리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가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도출한 것이다.
-
‘소중한 OOO 절대 지켜’···생활 속 파고드는 별의별 보험상품들 금융소비자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소소한 필요를 채워주는 보험상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보험사들은 보장의 대상을 세분화해, ‘딱 이것만 보장받고 싶다’는 욕구를 지닌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보장의 범위가 넓지 않기 때문에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게 장점이다. 일상의 사고·질환을 보장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휴대폰 보험’은 지난해 12월 출시 후 한 달 만에 하루 가입자가 3배 뛰었다. 스마트폰 가격대가 200만원을 넘어가면서, 고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고장·파손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해 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사고 시에도 큰돈 들이지 않고 스마트폰을 지키길 원하는 소비자들을 보험사가 공략한 셈이다.
-
대구은행, 시중은행 본인가 신청···금융위 심사 착수 DGB대구은행이 7일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금융당국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대구은행의 은행업 본인가 신청을 받고 심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지난달 31일 금융위는 지방은행이 시중은행과 같은 인적·물적 설비 등을 갖추고 은행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대구은행이 갖고 있던 기존 인가를 말소하는 대신 인가 내용만 변경하기로 했다.
-
KB금융, 지난해 순이익 4조6319억 ‘역대 최대’···자사주 3200억 소각 KB금융그룹이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KB금융은 32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기로 결의하는 등 주주환원 정책도 공개했다. KB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1.5% 증가한 4조6319억원이라고 7일 공시했다.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4대 금융그룹 중 경영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신한금융그룹을 제외하고, 연긴 순이익이 전년보다 늘어난 곳은 KB금융뿐이다.
-
카카오뱅크, 지난해 순이익 ‘역대 최대’ 3549억원···전년 대비 35%↑ 지난해 카카오뱅크가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34.9% 급증한 3549억원이라고 6일 공시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47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48%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여신이 성장했고 수신 잔액도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카카오뱅크의 수신 잔액은 전년 말 대비 약 14조원 불어난 약 47조1000억원이고, 여신 잔액은 같은 기간 10조8000억원 증가한 38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
우리금융, 지난해 순이익 2조5167억···전년 대비 20% 감소 지난해 우리금융그룹이 전년 대비 20% 감소한 2조5000억원가량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충당금을 포함한 대손 비용, 민생금융 지원 비용 등이 반영되며 순이익이 줄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9.89% 감소한 2조516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이자 이익은 8조7430억원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다. 우리금융은 “금리 상승으로 은행의 조달 비용이 증가해 은행의 연간 순이자마진(NIM)이 전년 대비 0.03%포인트 하락했지만 신성장 산업을 중심으로 대출이 성장해 이자 이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
카카오페이, 지난해 당기순손실 252억원···적자 전환 카카오페이가 지난해 약 25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매출액은 전년보다 늘었지만 카카오페이손해보험, 카카오페이증권 등 자회사에 대한 투자가 계속돼 순이익을 거두지 못했다. 카카오페이는 6일 지난해 연결 당기순손실이 251억54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2022년에는 약 268억원의 순이익을 거뒀으나 지난해 적자로 전환했다.
-
“이 정도도 감사” 은행권, 자영업자 이자 환급 개시 은행권이 6일부터 민생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자영업자 이자 환급을 시작하자 ‘통장에 현금이 들어왔다’며 반가워하는 자영업자들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일부 인터넷전문은행이나 2금융권에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차주(대출받은 사람)들은 이번 이자 환급 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혜택에서 소외돼 있다. 자영업자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날 오전부터 ‘민생금융 캐시백(이자 환급)이 입금됐다’는 내용의 게시글이 잇따랐다. 대출 원금의 규모나 대출 금리 수준, 이자를 갚은 기간 등에 따라 이자 환급액은 16만원, 30만원, 최대 한도인 300만원 등 천차만별이었다.
-
현대해상·렌딧·삼쩜삼 주축 연합, 제4 인터넷은행 출사표 현대해상과 온라인투자연계금융사(P2P) 렌딧, 세금 환급 플랫폼 자비스앤빌런즈(삼쩜삼) 등이 제4 인터넷전문은행 예비 인가 신청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로써 제4 인터넷은행 설립에 나선 도전자는 총 세 곳이 됐다. 유뱅크(U-Bank) 컨소시엄은 5일 현대해상과 렌딧, 자비스앤빌런즈,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 외환 전문 핀테크 트래블월렛 등을 주축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터넷은행 예비 인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삼성화재, 이달 16일부터 자동차 보험료 2.8% 인하 삼성화재가 올해 자동차 보험료를 2.8% 내린다. 삼성화재는 오는 16일 책임이 개시되는 계약부터 개인용 자동차 보험료를 2.8% 인하한다고 5일 밝혔다. 당초 삼성화재는 자동차 보험료를 2.6% 인하하는 안을 검토했는데, 검토 결과 인하 폭이 확대됐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보험원가가 인상되는 요인이 있지만 물가 상승 등 서민의 고통을 분담하고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자동차 보험료를 인하했다”고 말했다.
-
신창재 교보생명 의장 “실패 통해 배우고 혁신해야”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사진)이 직원들에게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5일 교보생명에 따르면 신 의장은 서울 종로구 교보생명 본사에서 열린 2024년 상반기 경영 현황 설명회에서 임직원들에게 올해 경영방침을 공유했다. 신 의장은 “보험사업자는 고객이 생명보험을 통해 미래 역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상부상조’ 플랫폼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며 “단순히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을 넘어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역경에 부닥친 고객이 정상적인 생활로 빨리 돌아갈 수 있도록 종합 해결책을 제시해 고객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