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진
경향신문 기자
정치부. 외교안보 분야를 취재합니다. 모든 경계에 놓인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최신기사
-
트럼프, 중국 제외 상호관세 90일간 유예…한국 기본관세 10%만 적용, 중국엔 12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한국을 포함한 상호관세 대상 국가들이 대미 협상을 준비할 시간을 벌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대미 보복 조치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관세를 125%로 인상했고 중국의 대미 84% 보복관세도 발효돼 미·중 간 ‘치킨게임’이 계속되고 있다.
-
미 “관세, 단기에 면제 없을 것…최고 제안 가져오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상호관세와 관련해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진행할 것이며 동맹국이 우선 협상 대상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한 단기간에 관세 면제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관세 시행을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약 70개국이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과 접촉하고 있다면서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방식을 띠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
관세 조정 내비친 트럼프, 방위비 등 ‘대가’ 압박 동맹국 우선 ‘맞춤형 협상’ 방침전 분야 포괄 “원스톱 쇼핑” 언급한국에 에너지 등 ‘청구서’ 예상 중 “대미 관세 84%” 즉각 맞불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포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 0시1분(현지시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1분) 발효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협상 시 한국, 일본 등 동맹국을 우선할 것이며 ‘맞춤형 협상’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미 상호관세 발효…우선 협상대상 한국에 “원스톱 쇼핑” , 관세·방위비 패키지 압박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포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 0시1분(현지시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1분) 발효됐다. 대중국 상호관세율은 첫 발표 때보다 50%포인트 오른 84%로 확정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추가된 대중 관세가 총 104%에 이르게 됐다. 중국은 34%였던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84%로 올리며 맞불조치를 취했다. 트럼프 정부는 일본에 이어 한국과도 협상하겠다고 했지만, 세계 1위 수입국 미국의 고율 관세가 현실화함에 따라 글로벌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 “상호관세 협상, 국가별로 맞춤형…단기에 관세 면제는 어려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상호관세 시행을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진행할 것이며 동맹국이 우선 협상 대상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한 단기간에 관세 면제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약 70개국이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하고 있다면서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방식을 띠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게 대통령의 메시지”라면서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
중 “34%”에 미 “50% 더”…보복 얹는 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중국은 “단호히 반격하겠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을 두고 미·중이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는 관세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기 전 취재진이 상호관세 유예를 고려하느냐고 묻자 “우리는 그것은 보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통상 분야에서 판을 다시 짤 기회가 있다”며 “우리를 이용했던 국가들이 ‘제발 협상하자’고 한다. 그들이 크게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트럼프 경제고문 “관세, 부담 공유 차원…공정한 몫 내야” 압박 미국이 제공하는 안보·경제적 ‘글로벌 공공재’ 비용을 충당하려면 세계 각국이 관세를 “보복 없이 수용”해야 한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경제 참모가 주장했다. 동맹국에 방위비 증액을 요구할 때 쓰이는 ‘부담 분담(burden sharing)’이라는 논리를 관세에도 적용해 압박한 것이다.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가 주최한 대담에 나와 “미국이 안보 우산과 달러·국채·준비자산이라는 쌍둥이 글로벌 공공재를 계속해서 제공하려면 세계적 차원에서 부담 분담이 필요하다”면서 “다른 나라들이 미국의 지정학적, 재정적 우산에서 이득을 보고 싶다면 공정한 몫을 내고 일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고려 안 해”…‘맞불’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고, 중국이 미국에 반격하겠다고 경고하면서 미·중 갈등이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는 관세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회담에 앞서 취재진이 상호관세 유예를 고려하느냐고 묻자 “우리는 그것은 보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통상 분야에서 판을 다시 짤 기회가 있다”며 “우리를 이용했던 국가들이 ‘제발 협상하자’고 한다. 그들이 크게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트럼프, 증시 패닉에도 “때론 약 먹어야”…관세 드라이브 고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상호관세로 인한 금융시장 패닉이 확산하고 있음에도 관세 강경책을 거둬들일 의사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관세를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치료약”에 비유하고, 총 54%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중국에 대해선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시장 혼란이 “무역질서 재편 일환”…미 당국자들, 상호관세 옹호 나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주말인 6일(현지시간) 언론과 연쇄 인터뷰를 통해 상호관세 정책을 옹호했다. 세계 각국의 반발과 금융시장 혼란을 야기한 상호관세에 대해 “무역질서 재편의 일환”이라며 강행 의지를 밝혔다. 또한 물가 상승이나 경기침체 전망에 선을 그으면서 파장 축소도 시도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CBS에 나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농담이 아니다”라며 “세계 각국은 우리를 갈취하고 있고, 이것을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행 연기를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연기는 없다. 며칠 또는 몇주간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금융시장 패닉에도 “상호관세 연기 없다”…‘막무가내’ 트럼프 행정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주말인 6일(현지시간) 언론과 연쇄 인터뷰를 통해 상호관세를 옹호하고 나섰다. 세계 각국의 반발과 금융시장 혼란을 야기한 상호관세에 대해 “무역질서 재편의 일환”이라며 강행 의지를 밝혔다. 또한 물가 상승이나 경기침체 전망에 선을 그으면서 파장 축소도 시도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CBS에 나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농담이 아니다”라며 “세계 각국은 우리를 갈취하고 있고, 이것을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행 연기를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연기는 없다. 며칠 또는 몇 주간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
“아시아 국가들 협상하고 싶어서 안달”…트럼프, 금융시장 패닉에도 관세를 ‘치료약’에 비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상호관세로 인한 금융시장 패닉이 확산하고 있음에도 관세 강경책을 거둬들일 의사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관세를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치료약”에 비유하고, 총 54%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중국에 대해선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