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광호
경향신문 기자
최신기사
-
작황 부진 배추·무 등 채소값 치솟아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배추와 무 등 채소의 가격이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배추 등의 수입을 늘리고 마트에서 할인 지원 품목도 확대키로 했다. 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1일 기준)에 따르면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5582원으로 1년 전 4226원보다 32.1% 높다. 무는 한 개에 2849원으로 1년 전(1942원)보다 46.7% 올랐다.
-
내달 초 ‘산불 피해 농가 생계비’ 지급…전기요금·통신비 등 감면 정부가 산불 피해 농가 중 피해율이 50% 이상인 가구에 생계비와 학자금 등 재난지원금을 이르면 다음달 지급한다. 피해 재난지역 농가에는 소실된 농기계와 농기자재를 무상 공급하고, 세금과 통신 요금 등도 감면·유예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열린 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산불 피해지역 농업인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경북과 경남 지역 11개 시군에서 산불이 발생했고, 이 중 농업분야 피해는 경북지역 5개 시군에 집중됐다.
-
다음달 초 재난지원금 지급·세금 등 감면…산불 피해 농가 지원 정부가 산불 피해 농가 중 피해율이 50% 이상인 농가에 생계비와 학자금 등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피해 재난지역 농가에는 소실된 농기계와 농기자재를 무상 공급하고, 세금과 통신 요금 등을 감면·유예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열린 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산불 피해지역 농업인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경북과 경남 지역 11개 시·군에서 산불이 발생했고, 이 중 농업분야 피해는 경북지역 5개 시·군에 집중됐다.
-
작황 부진 배추·무·양배추 등 채소 가격, 4월에도 강세 이어질 듯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배추와 무 등 채소의 가격이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배추 등의 수입을 늘리고 마트에서 할인 지원 품목도 확대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생산량이 감소한 배추, 무, 양배추, 당근, 양파 가격이 비교적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1일 기준)에 따르면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5582원으로 1년 전 4226원보다 32.1% 높다. 무는 한 개에 2849원으로 1년 전(1942원)보다 46.7% 올랐다. 양배추 한 포기는 5369원으로 1년 전(4914원)보다 9.3%, 흙당근(1㎏)은 5857원으로 1년 전(4846원) 대비 20.9%, 양파(1㎏)는 3378원으로 1년 전(2813원) 대비 20.1% 각각 높다.
-
우리나라 바다에 어떤 고래가 얼마나 살고 있을까…8종 3698마리 확인 한국의 바다를 대상으로 실시한 첫 항공조사에서 3700마리 가까운 고래가 관찰됐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지난해 동해, 서해, 남해 전 해역에 항공기를 띄워 조사(항공 목시조사)한 결과, 8종 3698마리의 고래류를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항공 목시조사는 항공기에서 고래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조사 방식으로, 선박 목시조사와 달리 수심, 어장, 해안선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광범위한 조사가 가능하다.
-
단독 농정당국, 7년 전엔 “LMO 감자, 시장 교란 우려”…‘적합 판정’ 논란 확산 최근 미국산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감자의 작물재배환경 위해성 심사에서 ‘적합’ 판정을 내린 농정 당국이 6~7년 전엔 ‘국내로 수입될 경우 종자용으로 쓰여 시장과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와 농촌진흥청 등에 따르면 농진청장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018년 11월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미국산 유전자변형(GM) 감자의 국내 수입 가능성과 이에 따른 우려를 언급했다. 당시는 미국 감자 생산업체 심플로트사가 우리 정부에 LMO 감자 수입 승인을 요청한 이후 안전성 논란이 확산하던 때였다. 국내에서 LMO 감자 재배는 불법이지만, 유전자변형 농산물 중에서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LMO는 재생산이 가능해 종자용으로 쓰일 수 있다.
-
제주 ‘남방큰돌고래’ 서식지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이르면 다음달 멸종위기종인 남방큰돌고래와 해초류·산호류 등이 서식하는 제주 연안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처음 지정된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 제1회 해양수산발전위원회’를 열고 ‘제주 신도리 해양보호구역 지정(안)’을 의결했다고 1일 밝혔다.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는 신도리 인근 바다(2.36㎢)는 남방큰돌고래의 주요 서식지이다. 인도양과 서태평양에 주로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는 국내에서는 120마리 미만의 개체가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
제주 ‘멸종위기’ 남방큰돌고래 보호구역 최초 지정…여의도 370배 해초류 등 서식지도 이르면 다음달 멸종위기종인 남방큰돌고래와 해초류·산호류 등이 서식하는 제주 연안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처음 지정된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 제1회 해양수산발전위원회’를 열고 ‘제주 신도리 해양보호구역 지정(안)’을 의결했다고 1일 밝혔다.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는 신도리 인근 바다(2.36㎢)는 남방큰돌고래의 주요 서식지이다. 인도양과 서태평양에 주로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는 국내에서는 120마리 미만의 개체가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남방큰돌고래 서식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2016년 가로림만 보호구역(점박이물범), 2019년 고성 하이면 보호구역(상괭이)에 이어 세 번째 해양생물보호구역이다. 앞서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MARC)와 시민단체는 서명운동을 통해 지난해 5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와 연안 난개발로부터 남방큰돌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서식지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촉구했다.
-
농식품부 “미국의 ‘한국 농산물 무역장벽’ 문제 제기는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 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국가별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소고기 수입 제한 조치 등 농산물 분야 무역장벽을 언급한 것에 대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의 문제 제기”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올해 미국 NTE 보고서(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에 언급된 농업 분야 내용은 미국 측 이해관계자가 매년 제기해 온 사항으로 기존 보고서와 유사하다”며 “미국에서는 소고기와 소고기 가공품, 반추동물 성분 포함 반려동물 사료, 원예작물 수입 등을 언급해왔다”고 설명했다.
-
AI 확산에 급식 수요 증가…날개 단 계란값 계란 가격이 날아오르고 있다. 산란계 농장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되면서 공급이 줄고, 학기 초 급식 영향으로 수요가 늘어난 탓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를 보면 31일 날계란(특란 30개) 산지가격은 5094원으로, 3월 첫 평일인 4일(4397원) 대비 15.9% 뛰었다. 지난 1월 평균 산지가격(4894원)보다 4.1%, 2월(4468원) 대비로는 14.0% 각각 높다.
-
‘불안한 계란값’ 고병원성 AI 확산·봄 수요 증가 등에 상승세 계란 가격이 날아오르고 있다. 산란계 농장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되면서 공급이 줄고, 학기초 급식 영향으로 수요가 늘어난 탓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를 보면 31일 날계란(특란 30개) 산지가격은 5094원으로, 3월 첫 평일인 4일(4397원) 대비 15.9% 뛰었다. 지난 1월 평균 산지가격(4894원)보다 4.1%, 2월(4468원) 대비로는 14.0% 각각 높다.
-
‘농어촌 소멸 해소’ 연평균 사업체 수 5%·생활인구 3% ↑ 목표 정부가 농어촌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농어촌 지역 기업 수를 연평균 5%씩 확대하기로 했다. 또 농어촌 빈집 정비와 체류형 복합 단지 조성을 통해 농어촌 생활인구를 연평균 3%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지난 24일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위원회를 열어 ‘제5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기본계획’(2025∼2029)을 의결했다고 27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