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광호
경향신문 기자
최신기사
-
‘정부 할인 지원 제외’ 전통시장, 상시 할인 가능해지나 정부가 할인지원 사업에서 제외됐던 전통시장에서 농축산물 할인을 상시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통시장 소비자의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오는 14일부터 6월13일까지 두 달간 ‘농축산물 상시 할인 시범 사업’을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사업은 전국 광역지자체가 선정한 16개 주요 전통시장에서 실시된다. 참여하는 전통시장은 서울 독산동우시장, 세종전통시장, 대구 칠성시장 등이다.
-
경북 산불 어업 피해 158억원…양식어가 보험 지급은 전무 지난달 경북지역 산불로 인해 150억원 넘는 어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이 해양수산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전날 기준 경북 영덕군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규모는 선박 30척, 어망 74개, 양식장 5곳, 가공업체 3곳 등 158억원으로 추정됐다. 선박 중에선 어선 25척이 완전히 불에 탔으며, 양식어류는 47만 마리(강도다리·은어)가 폐사해 약 3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또 정치망과 자망의 손실 89억원을 비롯해 가공업체 건물 16채가 모두 불에 타 21억원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수산물 상품 손실도 14억원에 달했다. 이 중 어선보험에 가입된 어선은 9척으로 일부 피해를 보상받게 된다.
-
계란 한 판 7000원 육박…빵·과자 등 가공식품 가격 ‘들썩’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과 봄철 수요 증가 등으로 계란 한 판 소매가격이 한 달 새 15%가량 뛰며 7000원에 육박했다. 계란을 원료로 하는 빵·과자 등 가공식품 물가까지 덩달아 오르고 있다. 8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기준 계란 한 판(특란 30개) 소비자가격은 6919원으로, 지난달 7일(6020원) 대비 14.9% 올랐다. 같은 기간 산지가격은 4530원에서 5308원으로 17.2%, 도매가격은 5002원에서 5663원으로 13.2% 각각 상승했다.
-
계란 한 판 7천원 육박, 한달 새 15% 뛰어…가공식품 물가 자극하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과 봄철 수요 증가 등 영향으로 계란 한 판 소매가격이 한달 새 15% 가량 뛰며 7000원에 육박했다. 계란 가격 상승으로 계란을 원료로 하는빵·과자 등 가공식품 물가까지 덩달아 오르고 있다. 8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기준 계란 한 판(특란 30개) 소비자가격은 6919원으로, 지난달 7일(6020원) 대비 14.9% 올랐다. 같은 기간 산지가격은 4530원에서 5308원으로 17.2%, 도매가격은 5002원에서 5663원으로 13.2% 각각 상승했다.
-
농지 내 노동자 숙소·쉼터 허용한다 올해 상반기 중 농업진흥지역에 근로자 숙소와 쉼터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농수산물 가공·처리 시설과 농어촌 체험·휴양마을의 설치 면적 제한도 완화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진흥지역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농지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8일부터 다음달 19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농수산물 가공·처리 시설 또는 산지유통시설 부지에서 시설 면적의 20%까지 근로자 숙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
올해는 사과 맛 좀 보나 했더니…화마가 삼켜버린 기대감 농가 고령화로 과수원 축소·기후변화로 품목 전환, 생산 줄어들 듯국내 재배면적 11%가 개화기에 산불 피해…‘금사과’ 재연 가능성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금사과’ 논란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올해 사과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사과 주산지인 경북지역의 산불 피해까지 겹치면서 사과 수급 불안이 커지고 있다.
-
해수부 “미국 수입금지된 태평염전 천일염, 강제노동과 무관…신속하게 조치 해제 추진” 해양수산부는 미국 정부가 과거 강제노동 사건으로 물의를 빚은 전남 신안 태평염전의 천일염 수입을 금지한 것에 대해 “현재 미국에 수출되는 태평염전 생산 천일염 제품들은 모두 강제노동과 무관하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7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2021년 강제노동 사건 이후 해수부는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개선조치를 이미 추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
다시 ‘금사과’?…재배면적 감소·산불 피해 확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금사과’ 논란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올해 사과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사과 주산지인 경북지역의 산불 피해까지 겹치면서 사과 수급 불안이 커지고 있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농업관측 4월호 과일’ 보고서를 보면, 올해 전국 사과 재배면적은 3만3113㏊(헥타르·1㏊는 1만㎡)로, 지난해(3만3313㏊) 대비 0.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
상반기에 농지 내 근로자 숙소·쉼터 설치 가능해진다 올해 상반기 중 농업진흥지역에 근로자 숙소와 쉼터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농수산물 가공·처리 시설과 농어촌 체험·휴양마을의 설치 면적 제한도 완화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진흥지역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농지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오는 8일부터 다음달 19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농수산물 가공·처리 시설 또는 산지유통시설 부지에서 시설 면적의 20%까지 근로자 숙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농업진흥지역에서는 근로자 숙소와 무더위·한파 쉼터를 설치할 수 없어 농업 현장에서 고용 안정과 주거 환경을 개선해달라는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
수산물도 미 수출길 험난할 듯 해마다 늘던 한국산 수산물의 대미 수출이 올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2~3%대 감소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 분석이 나왔다. 6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수산물 수출 영향’ 보고서를 보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한국산 수산물의 올해 대미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2.15~3.65%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수산물의 대미 수출액은 2020년 3억1700만달러에서 2024년 4억7900만달러로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이 12.7%에 이른다. 하지만 트럼프발 관세폭탄은 이 같은 대미 수출 기세를 크게 꺾을 것으로 전망됐다.
-
단독 미 상호관세로 ‘K-수산물’ 직격탄…국책연구기관 “올해 대미수출, 최대 3.7% 감소” 해마다 늘던 한국산 수산물의 대미 수출이 올해 미국의 상호관세 여파로 최대 3.7%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 분석이 나왔다. 6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수산물 수출 영향’ 보고서를 보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여파로 한국산 수산물의 올해 대미 수출액이 지난해 4억7900만달러(약 7000억원)보다 2.15~3.6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평균 4000만달러 이상 증가하던 대미 수출이 올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손실 보상’ 수입안정보험, 봄 감자 등 15개 품목으로 확대 추진 자연재해나 시장가격 하락으로 피해를 본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보상해주는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부터 봄 감자 품목의 농업수입안정보험 가입이 시작된다고 6일 밝혔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에 따른 수확량 감소나 시장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이 발생했을 때 일정 부분 손실을 보장해주는 정책보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