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규홍
나무 칼럼니스트
최신기사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천성 이겨내고 나라를 지킨 나무 나라 위해 몸 바친 희생의 역사는 사람에게만 새겨진 것이 아니다. 말 없는 생명들도 겨레에 닥친 모진 세월을 함께 견뎌왔다. 제 본성마저 거스르며 나라 지키는 파수꾼이 된 나무가 있다.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다. 강화도는 예로부터 외적의 침입에 대비해 임금이 피난처로 선택한 천혜의 요새였다. 여러 피난 경험 끝에 조선의 조정은 강화도에 돈대와 외성 등 방어시설을 설치했다. 그러나 흙으로 쌓은 성벽은 비바람에 무너앉기 일쑤였다. 이에 영조 때에 강화유수 원경하의 제안에 따라 탱자나무 울타리를 성벽에 심기로 했다. 땅속 깊이 뻗은 뿌리가 성벽을 튼튼히 지켜낼 뿐 아니라, 날카롭고 억센 가시는 철조망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백성의 고된 삶 위로하는 나무 대하소설 <토지>의 배경인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는 백성의 고된 삶을 위로하기 위해 한 관리가 심고 마을 사람들이 정성껏 키운 크고 아름다운 나무가 있다. 이름까지 아예 ‘위민정(慰民亭)’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푸조나무다. 나무 나이 500년을 헤아리는 이 푸조나무는 조선 영조 때 이 고을의 도호부사를 지낸 전천상(田天祥·1705~1751)이 ‘고된 노동에 지친 백성을 위로’하기 위해 심은 나무다. 농사일에 지친 백성이 잠시라도 나무가 드리우는 싱그러운 그늘에 들어 편히 쉬게 하려는 뜻이었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어머니 향한 천년의 그늘 전남 장흥군 옥당리 당동마을에는 ‘효자송(孝子松)’으로 불리는 특별한 나무가 있다. ‘장흥 옥당리 효자송’이라는 이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는 큰 나무다. 곰솔은 바닷가에서 자라기에 해송(海松), 줄기가 검은빛이어서 흑송(黑松)이라고 불러왔으며, 우리말로는 ‘검은 소나무’ ‘검은솔’이라고 부르다가 ‘곰솔’로 바뀐 우리 소나무의 한 종류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나무이지만, 사람의 정성만 담기면 내륙에서도 자랄 수 있다. 그런 까닭에 내륙의 곰솔은 특별한 사연을 간직했기 십상이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천연 교실이 되어 사람을 키워온 나무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한재초등학교는 ‘느티나무 학교’라 해도 될 만큼 한 그루의 느티나무로 널리 알려졌다. 학교 정문을 들어서면 건물보다 높지거니 우뚝 선 큰 나무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담양 대치리 느티나무’다. 생김새 하나만으로도 기억에 오래 남을 만큼 크고 아름다운 이 나무는 600년이 조금 더 된 것으로 짐작되는데, 가슴높이 줄기 둘레 9m에 높이가 34m나 된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전설에 담긴 자연주의 철학 옛사람들은 사람살이에서 당장 실현해야 할 가치를 흥미로운 이야기에 담아 삶의 철학을 구현했다. 우리의 오래된 나무에 전해오는 갖가지 전설들도 속내에는 당시 사람살이에서 꼭 필요한 가치를 담았다. 나무에 해코지를 하면 천벌을 받는다든가, 나무줄기에 천년 묵은 구렁이가 산다는 이야기를 비롯해 나라에 흉한 일이 벌어질 때면 나무가 울음소리를 낸다는 전설들이 모두 그렇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그래도 끝내 지켜야 할 우리 소나무 우리 숲의 소나무가 위기다. 최악의 산불 참사의 원인을 이야기하는 모든 논쟁에 어김없이 소나무가 애물단지로 등장한다. 산불 확산의 주요 원인이라는 이유에서다. 소나무를 솎아내고 다른 나무들을 많이 심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덧붙는다. 그래도 소나무가 민족의 역사와 함께한 우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바람 찬 바닷가에 서 있는 ‘강화 초지진 소나무’가 더 애틋해진 건 그래서다. 강화 초지진 소나무는 온몸으로 포탄을 맞으며 민족의 삶을 지켜낸 나무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잔혹의 역사를 기억하는 큰 나무 경북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는 ‘낙화담(落花潭)’이라는, 따스한 봄볕에 어울릴 듯한 낭만적 이름의 연못이 있다. 연못 가운데에 지은 인공섬에는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연못은 고작해야 330㎡ 규모이지만, 처음에는 5000㎡를 넘었다고 한다. 마을 입향조가 이 땅에 약한 물의 기운을 보태기 위해 연못을 짓고, 풍치를 돋우기 위해 가운데에 섬을 쌓은 뒤에 심은 나무라고 한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기록으로 남긴 마을의 큰 나무 농경문화 시대의 선조들은 일상적으로 나무를 심었다. 언 땅에 봄볕 스미면 한 해 농사를 채비하며 마을 앞 들녘에, 자식을 낳으면 뒤란에, 부모가 돌아가시면 묘지 앞에 나무를 심었다. 굳이 기록으로 남길 특별한 일이 아니었다. 오래된 나무의 식재 기록을 찾기 어려운 이유다. <괴정기(槐亭記)>라는 기록으로 나무를 심어 키운 과정을 또렷이 남긴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는 그래서 남다른 나무라 할 수 있다. 개항기에 활동했던 이 마을 선조 안종창(安鍾彰·1865~1918)이 남긴 기록이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평화 지킨 백성의 공을 기린 나무 사람살이에서 오래 기억해야 할 중요한 계기를 나무를 심어 기념하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남다른 일이 아니다. 이른바 기념식수다. 별다른 기록 방법이 없던 예전에는 오래 기억할 일을 사람보다 오래 살아남는 나무를 심어 상징하는 것만큼 효과적인 방법이 없었다. 땅끝마을 해남, 성내리 해남군청 앞에 서 있는 ‘해남 성내리 수성송(守城松)’이라는 특별한 이름의 나무도 그런 나무다. 조선 중기에 해남현감을 지낸 변협(邊協)이 심고, 해남 사람들이 고이 지켜온 장한 나무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바위틈 뚫고 살아남은 소나무 산다는 것은 제 삶의 특징 일부를 상처내고 내려놓는 일이다. 환경에 적응하려면 제 몸이 부서지는 아픔을 받아들여야 하고, 때로는 자신이 할 수 없던 일도 해야 한다. 자기만 고집해서는 살아갈 수 없다. 경남 하동 악양 들녘을 내다보는 지리산 자락의 축지리 대축마을 뒷동산에 서 있는 ‘하동 축지리 문암송’은 그 사례를 보여주는 특별한 나무다. 천연기념물인 이 소나무는 4m쯤 솟아오른 너럭바위 위에서 자라는, 볼수록 경이로운 나무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민족의 상처 함께 슬퍼한 나무 동해 낙산사, 남해 보리암과 함께 우리나라의 ‘3대 해상 관음 도량’으로 서해에는 강화도에 딸린 작은 섬 석모도에 천년고찰 보문사가 있다. 서해 일몰의 장엄한 풍광으로도 널리 알려진 아름다운 절집이다. 보문사는 신라 진덕여왕 3년(649)에 지어진 절집이다. 그때 이 마을 어부가 바다에서 건져올린 22개의 바위를 ‘천축국에서 보내온 불상’으로 점지받아 지금의 보문사 석굴에 모시면서 절집의 역사가 시작됐다.
-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 고속도로 휴게소의 ‘소원 나무’ 난데없는 참사로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세밑이 하냥 어둡다. 누구라도 마음속 깊이 담아두었던 큰 바람을 꺼내어 되새기게 되는 새해 앞이 어수선하다. 새해에는 더 이상 가슴 쓸어내릴 일 없이 평안한 날들이 이어지기를 기원할 뿐이다. ‘소원의 나무’라는 이름으로 사람의 소원을 들어주는 일을 맡아 하는 큰 나무가 있다. 나무나이 500년의 이 느티나무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지선 대구 달성군 구간의 마산 방향 현풍휴게소의 낮은 동산 마루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