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미 폭염과 온실가스 신기록의 경고, “당장 행동하라”

북미대륙 서부가 펄펄 끓고 있다. 캐나다 밴쿠버 일대가 49.5도까지 치솟고, 6월 평균기온 20~23도이던 미 오리건주 포틀랜드는 46.1도까지 달궈졌다. 폭염은 건강 약자의 돌연사와 정전 사태를 낳고, 경전철을 세웠다. 산불은 서울 넓이보다도 커졌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구온난화는 상상의 산물이다. 걱정 말라”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오판을 공개 힐난하는 일이 벌어졌다.

북미의 폭염은 뜨거운 고기압이 지구 북반구를 덮고 있는 ‘열돔(Heat Dome)’ 현상이 일으켰다. 온실이나 한증막에 열기가 차서 멈춰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 폭염은 지난해 중국·한국의 홍수, 유럽의 폭염, 호주·브라질 대형 산불의 연속선으로 본다. 지구를 돌며 빈도·강도가 세지고 있는 기후위기의 2021년판인 셈이다. 이번 주말부터 34년 만에 찾아오는 한국의 ‘지각 장마’도 다를 바 없다.

1일 또 하나의 경고가 나왔다.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에서 측정된 지난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2019년보다 2.7PPM 늘어난 역대 최고치(420.4PPM)를 기록했다. 사람의 활동과 물류·소비가 줄어든 코로나19 속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7% 감소한 해에도 온실가스 대기 농도는 평균치 증가 속도를 유지한 것이다. 이런 현상은 한국이나 전 세계가 다르지 않다고 한다. 한번 배출된 온실가스는 200~300년간 대기에 머물기 때문에 한두 해의 배출량 감소로는 온실가스에 큰 변화를 줄 수 없다는 것이다. 기후위기 대응이 더 빠르고 강해져야 한다는 분명한 경고이다.

지난해 4월 뉴욕 기후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는 ‘기후위기’로 공식 전환됐다. 생명체의 공존이 ‘목적’이고, 탄소중립이 ‘방법’이고, 산업혁명 이후 170년간 1도나 오른 지구 평균기온을 2100년까지 1.5도로 묶자는 ‘목표’는 정해졌다. 한 달 전 P4G 서울선언에서는 “기후위기가 경제·사회·안보·인권에도 위협”이고 바로 지금부터 행동하자는 뜻을 모았다. 기후행동은 비용과 고통을 감내하며 뚝심있게 가야 할 길이다. 늦추고 피할수록 할 일은 쌓이고, 무역장벽이 높아지고, 지구에서 따돌림당할 뿐이다. 정부가 11월 영국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에 보고할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10월에 내놓기로 했다. 시민의 일상에서 탄소·플라스틱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친환경차·그린수소 전환도 보다 과감하고 지속 가능한 청사진을 볼 수 있기 바란다.


Today`s HOT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해리슨 튤립 축제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불타는 해리포터 성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