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넉 달 연속 3%대 물가 상승, 서민 보듬을 대책 시급하다

1월 소비자물가가 3.6% 오르면서 4개월째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물가가 3% 이상 오른 것은 10년 만의 일이다. 더욱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대내외적 요인이 많아 고물가 장기화까지 우려된다. 고물가는 코로나19 사태 충격으로 고통받고 있는 저소득·서민층의 살림살이를 더욱 피폐하게 만든다. 민생경제의 파탄을 막기 위한 정부의 물가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

통계청이 4일 내놓은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월급 빼고 모두 오른다”는 한탄을 실감케 한다. 석유류(16.4%)를 비롯한 공업제품을 필두로 축산물(11.5%)과 농산물(4.6%), 외식(5.5%) 등 오르지 않은 품목을 찾기 힘들다. 서민들의 체감물가인 생활물가는 더 올라 4.1%다. 소득은 높아지지 않는데 물가가 치솟으니 서민들의 지갑은 얇아지고 살림살이의 고통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더 큰 걱정은 물가 오름세의 장기화 조짐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10년 만의 최고치인 3.0% 올랐다. 물가가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는 의미다. 여기에 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도 수두룩하다. 고공행진 중인 국제유가의 상승분은 조만간 국내 기름값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 인상이 미뤄진 전기·가스료 등 공공요금도 3월 대선 이후 오를 것이 뻔하다. 4월과 6월이면 각각 유류세와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된다. 대외적으로도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여전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도 계속된다. 이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회원국 전체의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이 6.6%로 1991년 7월 이후 최고치라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공포가 심화되고 성장둔화 속에 물가가 상승하는 ‘슬로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대내외 물가 상승 요인들에도 불구하고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은 상반기엔 물가가 오르지만 하반기엔 하락할 것이라는 ‘상고하저’를 예상하고 있다. 물가 안정 대응에 있어 낙관론은 큰 부작용을 낳는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물가 목표치 관리에 실패하지 않았는가. 홍남기 부총리는 “송구하다”고 말했지만 지금은 말이 아니라 행동이 필요하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공공요금·제품가 인상 시기 분산, 선제적 수급책 마련 등 다양한 물가 안정책을 발굴·집행함으로써 서민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줘야 할 것이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