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후위기 속 대형화한 산불, 장·단기 대응책 모두 강구하라

경북 울진에서 지난 4일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진화되지 않고 있다. 울진에서 강원 삼척까지 덮치더니 다음날 강릉 옥계에서 일어난 불은 동해시로 번졌다. 이미 여의도 면적의 53배가량인 1만5420㏊의 산림을 태웠다. 주택 등 시설 400여곳도 소실됐다. 한때는 울진 원전과 삼척 LNG 생산기지까지 위협했다. 천만다행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주민 7000여명이 긴급 대피했다. 소방당국은 인력과 헬기 등을 총동원해 진화에 나섰지만 주불을 잡지 못했다. 더 이상 피해가 없도록 당국은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번 산불은 ‘50년 만에 최악’이라는 겨울 가뭄에 강풍이 겹치면서 세력이 커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올해 2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13.3㎜로 평년의 14%에 불과했다. 건조한 날씨 탓에 바짝 마른 나무와 낙엽이 불쏘시개가 된 것이다. 동해안 산불은 더 이상 이례적인 사고가 아니다. 건조한 날씨와 국지성 강풍인 ‘양간지풍’이 결합하면서 산불이 일어나기 쉽다. 더욱 큰 문제는 산불의 규모가 갈수록 커진다는 점이다. 이번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 면적은 역대 최대였던 2000년 삼척 등 5개 지역의 동해안 산불 이후 22년 만에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동해안 산불이 대형화하는 것은 기후위기와도 떼어놓을 수 없다. 기후위기로 가뭄이 극심해지면서 산불 발생 건수 자체가 늘고 규모도 커지는 것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현재 발생한 전국의 산불은 236건으로 예년 동기 대비 2.4배나 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나 호주의 산불과 같은 현상이 국내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

정부는 이날 울진과 삼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산불로만 2000년·2005년·2019년에 이어 네 번째다. 정부는 피해주민 지원과 복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동해안 산불은 이제 상시 대비해야 하는 재난이다. 산불 예방 조치 등 사전 대책과 초기 진화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하고 인력 확충에도 나서야 한다. 산불의 규모가 커지고 여러 곳에서 동시에 산불이 일어나면 소방력이 분산돼 진화가 더뎌진다. 정부와 지자체가 합심해 방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산불을 기후위기 재난으로 간주하고 진화 장비와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대책도 필요하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