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발 고금리 장기화, 특단의 환율·금융 대책 마련해야

물가·금리·환율이 모두 오르는 고통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2일 달러당 15.5원 급등한 1409.7원을 기록했다. 1400원대 환율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이후 13년 반 만이다. 코스피지수는 14.9포인트(0.63%) 떨어진 2332.31로 미끄러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날 새벽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한 탓이다.

미국 금리는 연 3.0~3.25%로 상승해 한국(2.5%)보다 0.75%포인트 높아졌다. 3연속 자이언트스텝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물가를 잡기 위한 조치다. 연준 위원들이 전망한 올해 말 기준금리 평균은 4.4%, 내년 말에는 4.6%로 집계됐다. 금리가 연말까지 1~1.25%포인트 더 오르고, 내년에도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본 것이다. 그때까지 물가가 안정을 찾기 어렵다는 의미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고통 없이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거품이 낀 주택값 하락도 전망했다.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데 그 또한 고통을 수반한다. 물가가 오르면 화폐 가치가 떨어져 실질소득을 감소시키고, 이는 경제주체들의 형편을 어렵게 한다. 물가를 떨어뜨리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 경기 침체와 일자리 감소 등 부작용이 따른다. 특히 많은 부채를 진 한국의 가계와 기업은 더 큰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소득 감소와 경기 침체, 금리 상승이 겹치면 파산하는 취약계층이 속출하게 된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가격이 상승해 물가불안과 무역수지 적자를 키운다.

고난의 시기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 같다. 가계와 기업, 정부 각 주체는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10, 11월 두 차례 통화정책방향(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있다. 당초 0.25%포인트씩 점진적 인상이 유력했지만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상황이 바뀌었다. 빅스텝(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리 인상폭이 클수록 서민과 영세 기업의 고통은 심화된다. 정부는 취약계층을 보호할 금융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1400원 천장이 뚫린 환율은 곧 1500원대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외환시장 불안을 가라앉힐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Today`s HOT
캄보디아 농부들의 결실, 벼 수확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집단 축제 중국 국제 항공우주 전시회 파나마시티에서 관찰되는 동물들
파이널 테니스 경기 승리자, 미국의 테일러 프리츠 매스추세츠주에서 열린 미국 교사들의 집회
나스카 컵 자동차 경주 승리자, 조이 로가노 미국의 재향군인의 날
레바논 알마트의 구조현장 퍼스에서 열린 해양 포유류 생물학 학술대회 멕시코시티에서 공연하는 최다 수의 뮤지션들 베를린 장벽 35년을 기억하는 박물관의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