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大도시 지역따라 ‘범죄유형’도 달라

범죄 유형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이에 따르면 살인·강도·강간 등 강력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서울이다. 절도·사기·횡령 등 재산 범죄가 많은 곳은 광주였고 공무원범죄는 대전에서, 마약범죄는 부산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7大도시 지역따라 ‘범죄유형’도 달라

열린우리당 이상민 의원은 23일 법무부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2005년 전국 7대 도시 범죄 발생 현황’을 분석,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범죄는 모두 1백89만3천8백96건으로 인구 10만명당 3,882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7대 광역도시의 인구 10만명당 범죄 건수는 광주가 4,42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인천(4,298건), 대구(3,910건), 울산(3,849건), 서울(3,812건), 부산(3,689건) 순이었다. 대전은 3,678건으로 가장 적었다.

서울은 살인·강도·방화·강간 등 흉악성 강력범죄가 인구 10만명당 52건, 폭행·상해·협박·공갈 등 이른바 폭력성 강력범죄도 10만명당 734건으로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영화 ‘친구’의 무대인 부산은 영화와는 달리 흉악·강력범죄가 34건으로 가장 적었다. 광주의 10만명당 재산 관련 범죄 건수는 1,147건이었다.

공무원 범죄가 10만명당 6명으로 전국 평균(3명)의 2배가 나온 대전은 음주운전 역시 10만명당 1,243건으로 전국 평균(678건)의 2배에 달했다. 부산의 마약범죄는 10만명당 범죄 건수는 21건으로 전국평균 7건의 3배에 이르렀다.

이상민의원측은 서울의 강력범죄와 광주의 재산범죄가 많은 이유는 “대도시별로 범죄유형을 분류해온 통계자료가 지금까지는 없어 뭐라고 말할 수 없다”며 “앞으로 연구를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번의 자료를 토대로 서울을 강력범죄도시, 광주를 재산범죄도시로 분류하기는 무리가 있다며 확대해석은 경계했다. 반면 대전의 경우 행정청사 등이 몰려있어 공무원 범죄발생 건수가 높을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했다. 부산은 수출입 물량이 많은 항구도시라 마약 범죄에 지리적인 취약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도시별로 발생하는 범죄의 양상이 다른 만큼 도시특성에 맞게 치안대책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윤희일기자 yhi@kyunghyang.com〉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