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서울 라이프(1)

“나는 지방의 심심함을 좋아하는구나!”

유명종 PD
[탈서울 라이프①] “나는 지방의 심심함을 좋아하는구나!”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캡처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캡처

지금으로부터 28년 전인, 1994년 7월 9일자 경향신문 기사. ‘서울에 계속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서울시민 5명 중 2명꼴로 탈서울을 고려했다. 2021년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서울은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10만 6천명 많았다. 많은 사람들이 인서울을 꿈꾸지만 또 많은 이들이 탈서울을 꿈꾼다. 모두가 집값 폭등에 따른 비자발적 탈서울일까. 서울시 전출인구 2명 중 1명은 2030세대다. 궁금해졌다. 전출인구의 절반이나 되는 2030세대들은 왜 탈서울을 했을까. 그들은 서울을 떠나 어떻게 살고 있을까. 경향신문 유튜브 채널 <이런 경향>이 탈서울 5년차 류하윤(27), 최현우씨(28)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지난 9일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송정해변에서 탈서울 5년차인 류하윤(왼쪽), 최현우(오른쪽)씨가 카메라를 보고 환하게 웃고 있다. / 유명종PD yoopd@khan.kr

지난 9일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송정해변에서 탈서울 5년차인 류하윤(왼쪽), 최현우(오른쪽)씨가 카메라를 보고 환하게 웃고 있다. / 유명종PD yoopd@khan.kr

서울에서 태어나 20년 넘게 산 ‘서울 토박이’ 류하윤, 최현우씨는 2018년 ‘탈서울’ 했다. 강원도 동해시에서 4년, 현재 강릉시에서 6개월째 살고 있다. 그들이 기억하는 서울은 빠르고, 답답하고 숨구멍이 없는 도시였다. 현우씨는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는 돈이 많이 없었기 때문에 (서울의) 문화생활을 누릴 수 없었다. 서울의 장점이라고 할 만한 것들은 어느 정도 돈이 들어가는 일이었다. 그런 것들을 못 누려서 내게 서울이 좋은 기억은 아닌가 싶다”라고 말했다.

왜 그들은 서울을 떠났을까. 하윤씨는 사람마다 자기에게 필요한 지역이 있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은 빠르고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것에 활기를 느끼고 살아 있음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 저는 그런 환경 속에서 좀 힘들고 지치고 ‘못 하겠다’라는 생각도 많이 드는 사람이다. 지방에 와서 살아보니 마음이 편했다. 느린 삶이 나랑 맞았다. 사람들은 ‘금방 서울로 돌아오게 될 거다’, ‘도망치는 거다’, ‘심심할 거다’라고 했는데 ‘나는 이 심심함이 좋구나’라는 것을 살아보니까 알게 됐다”

내가 좋아하는 도시를 발견하기 위해선 내가 살던 곳을 벗어나 보는 경험도 필요하다고 현우씨는 말한다. “어떤 지역이 나와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살던 곳을 벗어나 봤을 때 내가 있는 곳이 더 소중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곳으로 떠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주기도 한다”며 “대부분 사람들은 삶의 터전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살아간다. 연고, 직장, 학교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삶의 터전이 정해지게 내버려 두지 마세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충분히 누릴 수 있는 곳에 터전을 마련했으면 좋겠어요. 걷는 걸 좋아한다면 기분 좋게 걸을 수 있는 길이 많은 곳처럼요.”

탈서울 5년차 류하윤, 최현우씨의 자세한 이야기는 경향신문 유튜브 채널 <이런 경향>, 탈서울 라이프에서 만날 수 있다.

현우씨가 자주 산책하던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한 하평해변. / 최현우씨 제공

현우씨가 자주 산책하던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한 하평해변. / 최현우씨 제공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