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빠진 제주살이…전입·전출 14년 만에 역전

박미라 기자

일자리 부족·집값 폭등…작년 순이동 인구 마이너스 1687명

“완전 이주 고민하다 포기했어요”…청년층 이탈 가장 심해

제주 감귤따기 체험. 제주도 제공

제주 감귤따기 체험. 제주도 제공

인천에 살지만 제주도에서 가족들과 일주일이나 한 달씩 머물던 박미소씨(40)는 완전 이주를 고민하다 포기했다. 그는 “제주의 자연환경 속에서 아이들을 마음껏 뛰어놀게 하고 싶어 짧은 ‘제주살이’를 해왔다”면서도 “집값이 너무 비싸고 맞는 일자리가 없어 이주는 포기했다”고 말했다.

지난 10여년간 이어진 ‘제주살이 열풍’이 막을 내리면서 제주 역시 인구 유출을 걱정하는 지역이 됐다. 특히 인구 유출의 중심에 20대 청년층이 있다는 점에서 제주의 고민이 크다.

14일 제주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로 전입한 인구(8만1508명)에서 전출한 인구(8만3195명)를 뺀 순이동 인구는 -1687명으로 집계됐다. 제주를 찾은 사람보다 떠난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다. 제주 인구가 순유출로 전환된 것은 2009년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제주는 2010년부터 인구 유입이 유출을 앞섰다. 특히 2016년 순유입 1만4632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한 해 전입자가 평균 8만명 안팎에서 2016~2018년 10만명대로 늘었다. ‘제주살이’ ‘제주이주’가 유행처럼 번진 데다 관광객 증가와 공공기관 및 수도권 기업의 이전, 영어교육도시 등에 힘입어 찾는 이들이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2019년부터 인구 증가세가 둔화했고 유입 규모도 한 해 2000~3000명대로 내려앉다가 결국 지난해 순유출로 전환됐다.

인구 유입이 줄어든 배경에는 수년간 전국 최고 수준이었던 부동산값 상승에 따른 이주 부담과 정주 여건 악화 등이 있다. 제주지역 아파트 분양가는 지난해 3.3㎡당 평균 2500만원대를 오르내렸다.

또 대도시와 다를 바 없는 교통혼잡과 주차난, 대규모 개발에 따른 환경 훼손도 원인이다. 관광 외 일자리가 부족하고 투자·기업 유치가 더뎌진 점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제주로 이주했다가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돌아가는 이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탈제주’ 현상이 부각되고 있다. 지난해 제주의 연령별 인구이동을 보면 20~24세에서 1397명, 25~29세에서 605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20대에서만 2002명이 더 제주를 떠났다. 지난해 제주 전체 순유출 인구(1687명)보다 큰 규모다. 학령인구인 10대에서도 740명이 순유출됐다.

청년층의 이탈은 학업과 직업, 정주 환경 악화가 가장 큰 원인이다. 2022년에 실시한 제주도청년통계를 보면 제주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일자리 부족’(50.9%)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열악한 근로환경(40.2%)과 높은 생활물가(30.2%), 주거비용 부담(26.3%), 문화활동 기회 부족(10.8%) 등을 호소했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