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 장식기와가 태안 앞바다에서 나온 이유는

김종목 기자

조선 시대(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지붕을 장식하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취두(鷲頭)와 갑옷을 입은 사람 모양의 장수상이 공개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충남 태안 청포대 해수욕장(남면 원청리) 갯벌에서 발굴한 취두와 장수상을 31일~9월 5일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전시한다. 연구소는 조선 전기의 취두를 온전한 모습으로 발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취두는 독수리 머리를 뜻하는 것으로 용의 형상과 같이 조각되었다.

연구소는 지난 6월 취두 1개체(2점), 2019년 9월 취두의 아랫부분 1점, 다음달인 10월 장수상 1점을 수습했다. 취두(높이 103cm, 최대너비 83cm)는 눈을 부릅뜨고 입을 크게 벌린 커다란 용 머리에 작은 용 한 마리와 나선형의 음각선(오목새김한 선)을 표현했다. 연구소는 “용의 얼굴은 입체적이고 사실적이면서도 위엄이 있으며, 움직임에 생동감이 넘치고 비늘이나 갈기, 주름의 표현 역시 정교하다”고 했다.

태안에서 발굴한. 취두 1개체 2점(왼쪽)과 취두 아랫부분의 위, 옆, 아래. 문화재청 제공

태안에서 발굴한. 취두 1개체 2점(왼쪽)과 취두 아랫부분의 위, 옆, 아래. 문화재청 제공

취두는 용마루 양쪽 끝부분에 올리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다. 조선 시대에는 궁궐 등 권위 있는 건축물의 지붕에 제한적으로 사용했다. 이 취두는 중국 명나라(1368~1644년) 사찰인 지화사(智化寺)의 정문(正吻)과 유사하고, 2008년 화재로 소실되기 전 숭례문에 놓인 취두의 형태와 문양이 같은 모습이라고 한다. 취두는 주로 위·아래로 나뉜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분리해 만든 뒤 쇠못으로 상하를 고정하여 지붕에 얹었다.

중국 지화사 정문(왼쪽)과 2008년 화재 후 수습 한 숭례문 취두. 문화재청 제공

중국 지화사 정문(왼쪽)과 2008년 화재 후 수습 한 숭례문 취두. 문화재청 제공

장수상(높이 30㎝, 최대너비 22㎝)은 몸에 갑옷을 두르고 좌대(座臺)에 앉아서 무릎 위에 가볍게 손을 올린 모습이다. 연구소는 “인물의 움직임에 생동감이 있으며 갑옷 비늘 역시 섬세하게 표현됐다”고 했다. 장수상은 잡상(雜像, 궁궐이나 누각 등 지붕 위 네 귀에 덧얹는 여러 짐승모양의 기와) 앞에 배치하던 장식물이다.

왕실 전용의 장식기와가 태안 앞바다에서 나온 이유는 뭘까. 연구소는 “서울 지역에서 제작된 장식기와를 삼남(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의 왕실 관련 건물에 사용하기 위해 운반하던 중 태안 해역에서 침몰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태안에서 발굴한 장수상의 앞뒤 모습. 문화재청 제공

태안에서 발굴한 장수상의 앞뒤 모습. 문화재청 제공


Today`s HOT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러시아 전승기념일 리허설 행진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연방대법원 앞 트럼프 비난 시위 틸라피아로 육수 만드는 브라질 주민들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올림픽 성화 범선 타고 프랑스로 출발 이란 유명 래퍼 사형선고 반대 시위 아르메니아 국경 획정 반대 시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