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혼산’ 절반이 미혼…“결혼할 돈 없어서” 최다

반기웅 기자

2022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나혼산’ 절반이 미혼…“결혼할 돈 없어서” 최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33.4%
2050년에는 40% 육박할 듯

연소득 ‘1000만원 이하’ 21%
‘월세’ 42.3%…‘자가’ 34.3%

42세 직장인 A씨(충북 충주시)는 3년째 혼자 산다. 직장 생활을 위해 경기도에서 옮겨와 정착했다. 전세로 아파트를 마련했는데, 빚을 내 집 살 생각은 없다. 오르는 물가에 비해 급여 인상은 더디지만 혼자 생활하는 데 불편을 느끼진 않는다. A씨는 “가정을 꾸리면 지출이 늘어날 텐데,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며 “갈수록 ‘꼭 결혼을 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구 3가구 중 1가구는 1인 가구였다. 1인 가구는 결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결혼자금이 부족하거나 고용불안 등 주로 경제적 부담 때문에 결혼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22 통계로 보는 1인 가구’를 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16만6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했다.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에서 2019년 30.2%로 30%를 넘어선 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대로라면 2030년에는 1인 가구 비중이 35.6%, 2050년에는 4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령대별로는 29세 이하가 1인 가구의 19.8%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18.1%), 30대(17.1%), 60대(16.4%) 순이었다.

1인 가구가 벌어들이는 연소득은 2691만원(2021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 연소득(6414만원)의 42% 수준에 그쳤다. 1인 가구의 67.7%가 연소득 3000만원에 미치지 못했고, 1000만원을 벌지 못하는 1인 가구 비중도 21%에 달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는 116만1000가구로, 전체 수급 가구 10가구 가운데 7가구(70.9%)가 1인 가구였다.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60.3%에서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70.9%로 올라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주거 환경도 상대적으로 열악했다. 1인 가구의 주거 유형은 다가구단독주택 등 단독주택 거주 비중(42.2%)이 가장 높았다. 아파트는 33.1%, 연립·다세대 11.5%, 주택 이외 거처 11.3%로 전체 가구에 견줘 단독주택과 주택 이외 거처의 비중이 높았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51.9%는 아파트에 거주했다. 1인 가구 대부분은 월세(42.3%)로 살았고, 자기집(34.3%)과 전세(17.5%) 비중은 낮았다.

1인 가구 가운데 절반(50.3%·2020년 기준)은 미혼이었다.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결혼 자금 부족(30.8%), 직업 없거나 고용상태 불안정(14.4%), 출산·양육 부담(12.0%) 등 경제적 요인을 꼽았다.

‘결혼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1인 가구 비중은 47.1%로,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44.3%)보다 높았다. ‘하지 말아야 한다’는 답변은 4.4%에 그쳤다. 통계청은 전체인구와 비교할 때 ‘결혼은 해야 한다’는 비중은 2.9%포인트 낮은 반면,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비중은 1.1%포인트 높았다고 설명했다. 결혼을 하고 싶어도 경제적 부담 때문에 결혼을 주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Today`s HOT
러시아법 반대 시위 폴란드 대형 쇼핑몰 화재 우크라이나 공습에 일부 붕괴된 아파트 브라질 홍수로 떠다니는 가스 실린더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이스라엘 건국 76주년 기념행사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멕시코-미국 국경에서 관측된 오로라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