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활동이 늘어나는 봄철은 급격히 늘어난 운동량 때문에 발바닥의 근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족저근막염 환자 또한 증가하는 계절이다. 전문가들은 아침에 일어난 뒤 발바닥 통증이 심했다가 점차 나아지는 증상이 있다면 족저근막염일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부터 발바닥 근육을 감싸며 발의 만곡(아치)을 유지해 주는 단단한 섬유막으로, 몸을 지탱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족저근막염은 심한 운동을 하거나 오래 걸은 탓에 족저근막에 무리가 가면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하이힐이나 굽이 낮은 신발, 딱딱한 구두를 자주 신을 경우 나타나기 쉽다. 또 장시간 오래 서 있거나 몸무게가 늘었을 경우, 오목발 또는 평발일 경우에도 족저근막염이 생기기 쉽다. 김민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족저근막염 증상은 서서히 발생하는데, 아침에 일어난 직후 처음 몇 발자국 디딜 때 발뒤꿈치 부위에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다 점차 걸음을 걷다 보면 통증이 줄어드는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고 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국내 족저근막염 환자는 2012년 13만8583명에서 2022년 27만1850명으로 10년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평균 발병 연령은 45세 내외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2배가량 잘 발생한다. 진단은 보통 초음파 검사를 통해 할 수 있는데, 근막이 파열되면 그 부위가 부어올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족저근막염이 있더라도 발을 쉬게 하기 위해 보행을 중단하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다만 다행히 환자의 90% 이상은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로 회복될 수 있다. 족저근막은 보통 밤새 수축돼 있다가 아침에 급격히 이완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데, 보조기를 사용해 족저근막을 이완된 상태로 유지해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또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함께 하면 도움이 된다.
부어오르는 증상이 동반되는 초반 급성기에는 약물치료로 소염진통제도 사용한다. 이때 증상에 호전이 없다면 통증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할 수 있다. 잘 호전되지 않는 만성 환자는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 염증조직을 회복시켜 치료할 수 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기기에서 발생한 충격파가 세포막에 물리적 변화를 유발해 혈액 공급을 증가시켜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원리다.
김민욱 교수는 “초기 단계에는 약물치료와 스트레칭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지만, 보통 즉각적으로 호전되는 것이 아니어서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증상이 오래될수록 치료 성공률이 낮아지므로 가능한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족저근막에 과도한 긴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오래 걷거나 서 있지 않도록 하고, 급격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면 체중을 줄여야 한다. 따뜻한 물로 하는 족욕은 혈액순환을 도와 족저근막염 예방과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준다. 신발을 고를 때는 꽉 끼는 신발과 뒷굽이 너무 낮거나 바닥이 딱딱한 신발을 피하는 것이 좋다. 김민욱 교수는 “구두를 오래 신으면 보통 발뒤축의 바깥쪽이 먼저 닳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닳은 구두를 오랫동안 신게 되면 발바닥에서 더 많은 일을 하게 되면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고 악화할 수 있다”며 “이때는 구두 뒷굽을 새로 교체해주는 것만으로도 통증을 호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