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회 효과 내려면, 지방정부 정책 연계 늘려야”

최인진 기자

경기연구원 보고서 발간

“주민자치회 효과 내려면, 지방정부 정책 연계 늘려야”

전국 912개 운영 중이지만
경기도민 설문조사 결과
48.3% “도입 후 변화 없다”
재정 안정·학습지원 등 요구

단순 자문기구를 넘어 자치 권한을 확보한 주민자치회를 보다 활성화해 지방정부 차원의 민주주의를 확대 실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주민주권 실현의 첫걸음, 주민자치회’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주민자치회는 주민 대표성을 바탕으로 시·군·구의 장이 위촉하는 주민 대표기구다. 주민 생활 관련 사항에 대한 협의 및 심의, 주민화합 및 발전 사무, 지방자치단체 위탁 사무 등도 직접 수행한다. 2010년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를 확보한 후 2013년 시범사업을 시작해 지난해 10월 기준 전국 912개(전체 26%) 읍·면·동에서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198개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하지만 현재 주민자치회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는 다소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11월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중 73.2%가 주민자치회에 대해 들어봤지만 ‘정책 효과성’에는 54.0%가 ‘보통’이라고 답했다. ‘긍정’은 16.9%, ‘부정’은 29.1%다. 주민자치회 참여 의향에 대해서는 ‘있지만 적극 참여는 어렵다’ 46.4%, ‘없고 실제 참여도 어렵다’ 28.6%, ‘전혀 없다’ 13.0%, ‘꼭 하고 싶다’ 12.0% 등의 순이다. 참여가 어려운 이유로는 ‘생활 등으로 인한 시간 부족’이 50.6%로 가장 많았다.

주민자치회 도입 후 실질적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해서는 48.3%가 달라진 바 없다고 응답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주민들의 낮은 관심과 참여(42.0%)를 꼽았다. 응답자 47.1%는 향후 주민자치회 정책 확대에 동의했으며, 정책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는 안정적 재정 기반 마련(39.6%)과 학습지원(21.8%)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최준규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시재생,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읍·면·동 단위 지역 거점 공간 운영, 마을돌봄 등 다양한 공적 사업에서 신뢰할 수 있는 지역 주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주민자치회와 사회적경제 등을 지역 정책과 연계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주민자치회 제도 도입 초기 특성에 따라 현재는 중앙정부의 지원기능이 강하게 형성됐으나 향후 광역 지방정부 차원의 지원기능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도내 31개 시·군이 주민자치회 설립 및 운영 등에 대한 직접지원 기능을 담당한다면, 경기도는 정책개발 및 제도개선 등의 역할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