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상 120여개로 늘 때 생존 할머니는 20명

이준헌 기자

그날까지, 깨어 있으라!

전국 ‘평화의 소녀상’ 중 16곳의 소녀상을 사진에 담았다. 소녀상들은 약간의 세월의 흔적만 묻어있을 뿐 대개 깔끔한 모습이었다. 차가운 겨울 속 소녀상에 누군가가 모자를 씌워주고 담요를 덮어줬다. 소녀상 앞에 과자를 둔 곳도 있었고, 더러는 손과 발에 핫팩이 놓여 있기도 했다.   이준헌 기자

전국 ‘평화의 소녀상’ 중 16곳의 소녀상을 사진에 담았다. 소녀상들은 약간의 세월의 흔적만 묻어있을 뿐 대개 깔끔한 모습이었다. 차가운 겨울 속 소녀상에 누군가가 모자를 씌워주고 담요를 덮어줬다. 소녀상 앞에 과자를 둔 곳도 있었고, 더러는 손과 발에 핫팩이 놓여 있기도 했다. 이준헌 기자

지난 8월 일본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우대국)에서 제외시켰다. 이에 한국 정부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를 결정했다. 국민들은 자발적 일본상품 불매운동을 이어 갔다. 국가, 기업, 국민 등 모든 차원의 한·일관계가 갈등으로 얼룩진 한 해였던 것이다. 1992년 1월8일 시작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는 올해 말 1419회째를 맞았다.

2011년 12월14일 첫 탄생
2017년 이후 전국으로 확대
‘작은 소녀상’ 물결도 확산

1000번째 수요시위가 열린 2011년 12월14일, 치마저고리를 입은 단발머리의 한 소녀가 일본대사관을 야무진 눈빛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첫 ‘평화의 소녀상’ 눈빛이었다. 혼자였던 소녀상은 2940일이 흐른 31일까지 전국에 120여개로 늘어났다.

소녀상 120여개로 늘 때 생존 할머니는 20명

매년 평화의 소녀상 지도를 제작하고 있는 KBS 데이터저널리즘팀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세워진 소녀상은 2019년 8월9일 기준으로 124곳이다.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세워졌던 소녀상은 2017년 이후 건립이 전국적으로 확대됐다. 경기도에만 31곳에 소녀상이 있어 가장 많고, 권역별로는 전남이 14곳, 전북 10곳, 광주 6곳으로 호남권에만 30곳에 소녀상이 건립됐다. 경상도는 22곳으로 집계됐다. 2년 전 일본총영사관 앞에 놓인 소녀상과 강제징용 노동자상으로 한·일 간 팽팽한 긴장 관계를 일으켰던 부산에는 2곳에 소녀상이 있다(경기 31개, 서울 16개, 전남 14개, 경남 10개, 충남 10개, 전북 10개, 경북 7개, 광주·충북 각 6개, 강원 5개, 대구·부산 각 2개, 대전·울산·세종·제주·인천 각 1개).

모자·목도리에 낙엽까지
시간의 흔적이 남아있을 뿐
하나같이 깨끗하게 보존

개인과 학교, 각 지자체 등에서 추가 건립과 건립 예정 발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소녀상의 정확한 개수 파악은 쉽지 않다. 전남 함평에서 지난 22일 소녀상 제막식이 열렸고, 전북 장수군에선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를 만들어 모금활동을 벌이고 있다. 20일 울산 울주군의회 본회의에선 “시민 모금운동을 통해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해 살아 있는 역사교육 학습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을 30㎝ 크기로 줄여 만든 ‘작은 소녀상’도 있다. 2016년 이화여고 역사동아리 ‘주먹도끼’가 제안해 시작된 ‘작은 소녀상 설치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240여곳의 전국·해외 중·고등학교에 설치됐고 확산 중이다. 지난 20일 경남 진주 진양고 교내에서는 작은 소녀상 제막식이 열렸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 0 될 때
일 정부 안심할지 모르지만
나비의 외침 통해 그들 부활”

평화의 소녀상은 늘어나고 있지만 생존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숫자는 줄어들고 있다. 올해에만 다섯 분이 돌아가셨다. 이제 고작 스무 분의 할머니만 남아 계신 것이다. 그마저 고령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염려되고 있다. 고 김복동 할머니는 생전에 “아직 우리에게 해방은 오지 않았다. 억울하고 원통해 죽을 수도 없다”고 했다. “언젠가 일본 정부가 사과하는 날이 오면, 그때 마음껏 웃겠다”며 미소를 아꼈다는 할머니도 결국 올해 1월 세상을 떠났다.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는 김 할머니 장례식에서 “언젠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숫자가 0이 될 때, 일본 정부는 안심할지 모르겠지만 수백만의 나비들이 전쟁범죄자인 당신들을 향해 외칠 것이며, 그 목소리를 통해 할머니는 마침내 부활할 것”이라고 말했다.

<b>또 한 해 넘기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끝까지 싸워달라”</b> “끝까지 싸워 달라.” 2019년 1월 세상을 떠난 김복동 할머니의 유언이다. 여성인권운동가이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 할머니는 온 사력을 다해 그렇게 말했다. 올해 5명의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가 세상을 떠났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생존자는 20명이다. 2011년 12월14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은 현재 전국 360여곳에 우뚝 서 있다. 전국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과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흉상을 사진으로 모았다. 내년에도 우리는 잊지 않고 기억하겠지만 피해자 할머니들의 시간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ng.com

또 한 해 넘기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끝까지 싸워달라” “끝까지 싸워 달라.” 2019년 1월 세상을 떠난 김복동 할머니의 유언이다. 여성인권운동가이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 할머니는 온 사력을 다해 그렇게 말했다. 올해 5명의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가 세상을 떠났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생존자는 20명이다. 2011년 12월14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은 현재 전국 360여곳에 우뚝 서 있다. 전국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과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흉상을 사진으로 모았다. 내년에도 우리는 잊지 않고 기억하겠지만 피해자 할머니들의 시간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ng.com

전국 평화의 소녀상 중 16곳의 소녀상을 사진에 담았다. 서울에서 발뒤꿈치를 든 채 의자에 앉아 일본대사관을 응시하던 소녀는 부산에선 주먹을 꽉 쥐고 정면을 노려보고 있었다. 전북 익산에선 박근혜 정부 당시 졸속으로 만들어진 한·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문을 밟고 서 있었다. 비를 맞고 있던 광주 소녀상의 손에는 누군가 잘 마른 깨끗한 낙엽을 올려두었다. 소녀상들은 시간의 흔적이 조금 남아 있을뿐 하나같이 깨끗했다. 누군가 씌워줬을 때 타지 않은 모자를 쓰고 목도리를 둘렀으며 장갑을 끼고 버선을 신고 있었다. 공간의 한구석에 방치되어 낡고 닳아 있는 소녀상은 없었다.


Today`s HOT
불타는 해리포터 성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올림픽 성화 범선 타고 프랑스로 출발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이란 유명 래퍼 사형선고 반대 시위 아르메니아 국경 획정 반대 시위 틸라피아로 육수 만드는 브라질 주민들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