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5명 중 1명 “디지털성범죄 노출 경험”

이성희 기자

서울 초·중·고 4012명 조사

56% “성적 메시지 등 받아”
무대응·가해자 계정 차단 등
피해 대응도 개인 차원 해결

온라인 공간과 친밀한 세대
디지털범죄에 무방비 노출

서울 지역 초·중·고등학생 5명 중 1명은 채팅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디지털성범죄 위험에 직접 노출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청소년 중 상당수는 모르는 사람이라도 인터넷을 통해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등 위험성 인지도가 낮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피해 촬영물 삭제 등을 지원하는 통합지원기관을 내년 상반기에 신설한다.

30일 서울시가 발표한 초·중·고등학생 디지털성범죄 피해 실태를 보면, 서울에 거주하는 12∼19세 초·중·고등학생 4012명 중 21.3%(856명)가 ‘디지털성범죄 위험에 직접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올해 7월 서울시와 서울여성가족재단이 서울시교육청 협조를 받아 실시했다.

디지털성범죄에 노출된 아동·청소년 중 56.4%는 ‘성적 메시지나 성적인 사진을 전송받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응답자 중 27.2%는 ‘온라인에서 일방적으로 계속 연락을 하고 만남을 요구받았다’고 답했다. ‘성적 이미지가 유포되거나 유포 협박을 받았다’거나 ‘성적인 사진이나 성관계를 해주면 돈을 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다’는 응답은 각각 4.8%, 4.3%였다.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성범죄는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대응은 개인적 차원에서만 이뤄지고 있었다. 피해 아동·청소년 중 27.5%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25.9%는 ‘가해자 계정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해당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15.1%였다.

디지털성범죄 피해에 대응하지 않은 이유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대응 정보 및 주변 자원 부족)’가 78.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고나 상담을 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대응체계의 부재 및 불신)’라는 응답이 11.7%를 차지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아동·청소년들은 대부분 디지털성범죄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중 47.2%는 온라인 공간을 ‘안전하다’고 느꼈으며, 70.9%는 ‘모르는 사람이라도 인터넷을 통해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응답자 중 41.4%가 ‘모르는 사람과 인터넷을 통해 친해진 경험이 있다’고 했다. 13.9%는 ‘만난 경험이 있다’고 했는데, 이들 중 7%는 ‘성적인 이야기를 나누거나 (상대방이) 내 몸을 만지거나 만지려고 했다’고 답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지금의 아동·청소년 세대는 디지털 문화에 익숙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까지 많아지면서 디지털범죄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며 “피해자 통합지원기관 설치를 통해 예방부터 삭제까지 통합지원체계를 갖추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