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민 옥죄는 밥상물가 상승, 이대로 방치할 셈인가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소득은 줄었는데 밥상물가가 치솟고 있다. 집세는 오르기만 하고, 대출이자 부담도 늘어난다. 한겨울 추위는 다가오는데 보일러 난방비마저 들썩인다. 주춤하는 경제성장세 속에 글로벌 물가상승(인플레이션)으로 국내 물가의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생계 대책이 막막한 상황에서 저소득 취약계층에 고통이 중첩되고 있다.

최근 나온 몇 가지 통계는 서민 경제의 힘든 실상을 보여준다. 3분기 국민소득(한국은행·잠정치)을 보면,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0.7% 감소했다. 국민들이 돈을 쓸 여력이 그만큼 줄어들어 실질 구매력이 낮아졌다는 말이다. 지갑은 얇아졌는데 물가는 오른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통계청)는 전년 대비 3.7% 올랐다. 올해 최고치이자 9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4월부터 정부의 관리목표를 넘어 2% 중반대를 이어오던 물가가 지난달 3.2%에 이어 오름폭을 키운 것이다. 내용은 더 심각하다. 생필품처럼 구매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큰 141개 품목의 물가인 생활물가지수, 즉 서민들의 체감물가인 밥상물가는 5.2% 치솟았다. 계란·돼지고기 등 거의 모든 품목이 올랐다. 장보기가 무섭다. 여기에 전셋값과 월셋값도 각각 2.7%, 1.0% 상승했다. 12월에 들어서면서는 기름보일러용 등유, 연탄 등 서민들의 대표적 난방연료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대내외적 여건들이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예고한다는 점이다. 국제 유가나 원자재값과 곡물가격 상승세를 넘어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인플레이션 압력 요인이 겹쳐 있다. 실제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도 물가 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다. 미국과 독일·영국 등 주요 국가들의 최근 물가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금융협회(IIE) 등도 세계 주요국의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치솟는 물가는 고소득층보다 저소득 서민층에 더 큰 충격을 준다. 세심한 시장 점검과 관련 품목의 선제적 수급대책 등으로 밥상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고물가의 방치는 각종 부작용을 낳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도 부추긴다. 안이한 판단을 경계하고, 물가 상승세를 잡는 데 정부가 모든 정책 수단과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정부의 존재 이유는 서민들의 삶을 돌보는 데 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