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예람 중사 순직 인정, 군인권 제도적 개선 이어져야

공군 성폭력 피해자인 고 이예람 중사에 대해 지난 9일 공군본부 보통전공사상 심사위원회가 순직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사가 2021년 5월 극단적 선택을 한 지 약 1년8개월 만이다. 지난달 군검찰이 공군에 이 중사의 결정적 사망 원인이 2021년 3월 공군 제20전투비행단에서 장모 중사에게 당한 강제추행 피해와 뒤이은 2차 가해라고 변사사건 종결서를 보내면서 이번 결정으로 이어졌다. “조직이 나를 버렸다”는 유서를 남겼던 이 중사는 군이 잘못을 인정하면서 마침내 명예를 회복하고 국립묘지에 묻힐 수 있게 됐다. 군인권 개선을 향한 의미있는 이정표로 평가한다.

물론 갈 길의 종점은 아니다. 이 중사 사망 사건 진상규명에 앞장서온 이 중사 아버지는 책임자 처벌이 끝나기 전에는 국군수도병원 장례식장 냉동고에 안치된 딸의 장례식을 치를 수 없다고 말한다. 그의 사망 1년 만에 특검이 출범해 군 수사에서 불기소 처분됐던 성폭력 가해자와 신고를 막은 군 간부들의 실형 선고를 끌어냈지만, 사망 사건 수사 지휘를 부실하게 한 전익수 전 공군 법무실장(준장)에 대한 재판은 아직 진행 중이다.

이 중사 가족의 투쟁은 군의 폐쇄적인 상명하복 체제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면죄부를 주면서 피라미드 하위 구성원이 겪는 피해와 고통을 당연시해온 인권의식 부재를 바로잡기 위한 여정이다. 국방부 자료를 보면 지난해까지 5년간 군 사망사고자 69.4%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였는데, 군은 죽음의 책임을 종종 구조가 아닌 개인에게 돌려왔다. 이 중사의 경우도 군에서 당초 ‘부부간 문제’가 극단적 선택의 이유라며 허위사실을 유포하기도 했다.

지난달 유엔 인권이사회 회원국들은 한국 정부를 향해 군대 내 성폭력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폭력적인 문화에서 성은 폭력의 도구가 되기에, 이는 군 장병의 포괄적 인권이 충분히 보장받고 있느냐는 질문이기도 하다. 지난해 7월부터 군대 내 성범죄나 사망사건은 민간 법원에서 판단하도록 군사법원법이 개정되고, 도입 논의 16년 만에 군인권보호관이 설치됐다. 하지만 두 제도 모두 군의 협조 없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아파도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군인들도 여전히 많다고 한다. 군이 구성원의 인권을 존중할 때 위기상황에서 시민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강군의 존재가 가능할 것이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