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체 연구인력 태부족…만들어 팔 국내 시장도 미비

이정호 기자
국내 우주기술 분야별 인력현황(2020년 기준)<br />자료 : 2021 우주산업 실태조사(한국연구재단·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국내 우주기술 분야별 인력현황(2020년 기준)
자료 : 2021 우주산업 실태조사(한국연구재단·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국내 민간 우주기업 이노스페이스는 앞으로 총 3개 유형의 발사체를 만들 계획이다. 중량 50㎏, 150㎏, 500㎏짜리 소형 탑재체를 지구 궤도 500㎞에 투입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일정 비용을 받고 인공위성 등의 탑재체를 쏴 주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이노스페이스가 비교적 가벼운 위성을 올리는 데 특화한 발사체를 만드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최근 우주 분야 컨설팅기업인 유로컨설트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발사된 위성의 94%(1743기)는 소형 위성이었다. 이노스페이스 관계자는 “고객이 원하는 장소와 시점에 소형 위성을 올릴 ‘우주 택시’를 만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에서 발사체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준비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문제는 인재다. 이노스페이스에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총 86명이 재직하는데 이 가운데 연구 인력은 44명이다. 임직원 절반이 발사체 개발에 투입되지만, 절대 숫자에선 부족하다. 이노스페이스 관계자는 “미국에서 이번 발사체를 만들었다면 100여명은 필요했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고 말했다. 적은 연구 인력으로 분투하는 건 국내 민간 우주기업들이 겪고 있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발사체 기업의 인력 부족 문제는 다른 우주기술 분야와 비교하면 더 도드라진다.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가 펴낸 ‘2021년 우주산업 실태조사’를 보면 2020년 기준 국내 기업의 우주산업 분야 인력은 총 6305명이다. 이 가운데 발사체 제작 인력은 824명(13.1%)에 그친다.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분야에 3862명(61.3%), 위성체 제작 분야에 1035명(16.4%)이 투입돼 있는 것과 대조된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우선 국내에서 발사체 시장 형성을 위한 수요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정부에서 소형 위성을 개발하고 나면 민간 기업이 발사체를 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줘야 한다”며 “(발사)수요가 없다면 국내 기업들이 무슨 수로 성장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장 교수는 “지금 한국에선 정부나 군이 자신들이 만든 위성은 스스로 발사체를 만들어 쏘겠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