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여성 A씨는 2005년 경기도의 한 내과의원에서 다이어트약을 처방받았다. 신장 165㎝에 체중 52㎏으로 결코 다이어트가 필요한 몸매가 아니었다. 하지만 친구가 권유하자 호기심이 생겼고, 조금 더 날씬해지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거니까 별문제 없을 거라고 생각했죠.” 이후 A씨는 2020년까지 15년 동안 약물중독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의사에게 처방받은 약에 중독되는 사람들이 있다. 정식 처방된 다이어트약, 진통제, 항우울제 중 일부 약물에도 중독 성분이 들어 있다. 오·남용을 엄격히 관리해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의사가 처방해준 약’이라며 의심하지 않는다. 몇몇 병의원들은 돈을 벌 목적으로 환자의 투약 주기를 확인하지 않고 처방전을 남발한다.중독을 일으키는 다이어트 약물은 펜디메트라진 등 향정신성 성분을 포함한다. 각성 작용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원리다. 이런 이유로 다이어트약 중독이 필로폰 중독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2022.10.20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