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 3국, 중국과 협력 ‘17+1’서 모두 탈퇴

베이징 | 이종섭 특파원
지난해 2월 중국-중·동부유럽 국가 정상회의가 화상으로 열리고 있다. 신화망 캡쳐

지난해 2월 중국-중·동부유럽 국가 정상회의가 화상으로 열리고 있다. 신화망 캡쳐

리투아니아에 이어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까지 발트 3국이 모두 중국과 중·동유럽 국가 간 경제 협력체에서 탈퇴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와 중국의 관계, 최근 대만해협의 긴장을 고조시킨 중국의 군사적 행동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라트비아 외교부는 11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을 통해 “라트비아는 현재 대외 정책과 무역 정책의 우선순위를 고려해 중·동유럽 국가와 중국의 협력 틀에 대한 참여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라트비아는 상호 이익과 국제법 존중, 인권과 국제질서에 기초한 유럽연합(EU)-중국 협력을 통해 중국과의 건설적이고 실용적인 관계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스토니아 외교부도 이날 성명을 통해 “에스토니아는 중·동유럽 국가와 중국의 협력 플랫폼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들 국가가 참여 중단을 선언한 중국과의 협력 틀은 중국이 2012년 중·동유럽 국가들과 구성한 경제 협력체를 의미한다. 출범 당시 중·동유럽 16개 국가가 참여했고, 2019년 그리스가 합류하면서 ‘17+1’ 협력체로 불린다. 이 협력체는 지난해 중국과 갈등하던 리투아니아가 탈퇴하면서 ‘16+1’로 전환됐고, 이번에 다시 두 나라가 탈퇴하면서 ‘14+1’ 체제가 됐다.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는 구체적인 탈퇴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지난해 리투아니아의 탈퇴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17+1’ 협력 기반이 흔들리고 최근 중국이 대만해협에서 위협적 행동을 보인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발트 3국으로 불리는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옛 소련에서 독립한 나라들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이들 국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안보 불안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중국이 러시아와 밀착하는 것을 경계해 왔다.

중국은 지난 4월 훠위전(霍玉珍) 외교부 중국-중·동부유럽(CEEC) 협력사무 특별대표가 이끄는 대표단을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를 포함한 중·동유럽 8개국에 보내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자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이들을 붙잡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결국 이탈을 막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지난해 리투아니아가 17+1에서 탈퇴한 후 발트해 주변국이 그 뒤를 따를 것으로 예상돼 왔다”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한계 없는 우정’을 선언한 이후 이 지역에서 중국에 대한 불신이 더 커졌다고 보도했다. 사라 크렙스 코넬대 교수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 대만 방문 이후 대만해협에서의 군사적 긴장은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같은 나라들이 냉전 시절처럼 특정 진영에 서도록 자극했다”며 “두 나라는 자신들이 민주주의 진영에 있고 민주주의에 반하는 행동을 보이는 나라들과 함께 하길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알리려 한다”고 분석했다.


Today`s HOT
휴전 수용 소식에 박수 치는 로잔대 학생들 침수된 아레나 두 그레미우 경기장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해리슨 튤립 축제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